학술논문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Policy Promotion Direction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341~3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배경의 변화 양상과 국외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 내실화를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 추진 방향도 논의했다. 2000년대 이후 한국어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대상이 재외동포 중심에서 외국인까지 확대되어 수요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등 관련 부처와 부처의 정책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의 관련 정책 내용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각 지원 기관에서 국외 한국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세부 과제(사업)들을, 국외 한국 교육 기관 개원 및 지원, 한국어 교원 초청 국내 연수 및 장학 지원, 한국어 교원 국외 현지 연수, 한국어 교원 파견,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지원, 교재 개발 및 보급,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 사이버 강좌 운영, 각종 행사 지원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끝으로 국외 한국어 교육의 정책 추진 방향을 철학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y promotion direction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Also it discussed the change of the policy promotion background and the direction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for revitalization and substantiality.
The best feature of Korean education after 2000 is a rapid increasing of demand to learn Korean as the target has expanded from overseas Koreans to foreigners.
This paper inquired into provisions of the raw or system to support this change and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gencies which are 'Ministry of the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inistry Foreign Affairs and Trade' etc.
And then, it arranged the promoting enterprises of each organization to build up the capability strengthas the opening and supporting of the institute of overseas Korean education, supportof the training program for Korean educators by inviting Korea and a scholarship, the training program in the field for Korean educators, dispatch of Korean educators, supporting the institutes of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and spread of the Korean textbooks, Korean Language Test, management of the cyber lectures and support various events.
Finally, it discussed the policy promotion direction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as the philosophical side and conten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책 추진 배경
3. 다른 나라의 자국어 보급 기관
4.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