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이용수 7
- 영문명
- The Aspects on Considering the Audience of the Freshman Writers at Korea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진 유상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 필자가 글을 쓰는 과정에서 독자를 고려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독자의 모습은 단순하지가 않다. 지금까지의 독자 고려 연구와 달리 쓰기에서 독자에 대하여 폭넓고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5명의 우수하다고 판정된 대학생 필자에게 과제를 주고, 그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필자들이 독자를 어떻게 고려하여 가는지 프로토콜과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참여자들과 각각 3차례씩의 만남을 가졌다. 1차와 2차 만남은 사전 훈련의 성격이었고, 3차 만남에서 쓰기 장면 녹화와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쓰기의 목적과 주제에 따라 독자의 배경과 의견에 대하여 분석하는 모습을 보였고, 쓰고 있는 글의 맥락을 만들어가면서 자신이 독자를 구체적으로 상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렇게 자신이 분석하고 상정한 독자에 따라 글에서 내용의 선정과 조직, 어조와 단어 선택 등을 고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필자가 고려하는 독자란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일 뿐만 아니라, 필자가 글의 맥락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함께 구성하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onsidering audience by writer in the process of writing.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audience who was constructed by the writer. The audience is not a simple object but the complex concept. This study was intended for searching approaches according to various perspectives about the audienc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ink-aloud of the audience. The 5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process of persuasive writing. They had to performance think-aloud over writing. Researcher met them three times while this study. Twice of the meeting were pre-exercise, the rest was the main observation.
The participants showed the aspects that they had analyzed the background and the view of the audience. And they had made a context of their own text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good writer perform the writing task considering the audience. Then the audience is the creature that is created by context from writer's schema.
목차
1. 서론
2. 쓰기에서의 독자 연구
3. 독자 고려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