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gital age contents plan essay of essay literature: Focusing on the aspect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허만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637~6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하여 콘텐츠 산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토대 및 방안을 수필문학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모색해 보았다. 최근 문화적·산업적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점증되는 콘텐츠의 개발과 관련해, 수필문학이 그것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수필문학이 디지털시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문학 및 콘텐츠의 부흥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다. 디지털시대에 따른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미디어가 우리 가까이 다가왔고 거기에 맞는 적절한 콘텐츠가 요구되었는데, 바로 수필문학이 이 요구에 가장 최적한 글쓰기로 부상한 것이다. 콘텐츠를 위한 수필문학의 글쓰기가 다음과 같이 전개될 때 디지털시대에서 수필문학의 콘텐츠가 가능한 것이다. 첫째, 수필문학이 새로운 시대와 작가의식이 필요로 하는 융합과 소통을 바탕으로 대중성, 전문성, 창의성을 확보하는 일은 분명 디지털시대에도 수필문학이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험적이고 모범적인 문학 장르가 되도록 할 것이다. 둘째, 수필은 글의 길이나 주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볼 때, 사이버 공간에서 생산되고 유통되기에 가장 적절한 양식이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에서 수필쓰기는 대중적 글쓰기의 성격을 지니게 되어 문화적 상품 내지는 문화콘텐츠의 생산이라는 측면이 우선된다. 이는 수필문학 부흥의 원동력이자, 콘텐츠 산출의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다. 셋째,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에코토피아적 글쓰기는 향후 수필문학이 추구하는 또 하나의 이상이며, 장르와 매체 간의 교섭을 가능케 함으로써 콘텐츠 산출을 위한 중요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grasped the quality of the contents which boils and base and the plan will be able to contribute directly in spontaneous power security and contents production writing, to grope in the center tried. like this work essay literature will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from digital age, further the possibility the alternative for the activation of literature and the contents becoming will be and is because seeing.
For namely contents the essay literature writing, First, amalgamating and being understood grudge is a writing which is original with character. fusion and being understood which the time when essay literature are new and author consciousness do in necessity the work which secures a popularity, a professionalism and an originality with character the essay literature establishes a new literary identity even in clear digital age and transcendental in order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which is various and to become the literary style which is an exemplary.
Second, is a popular writing which leads a cyber space. The essay when seeing in the method which delivers the route or a subject of the writing, is produced from cyber space and circulates and most is a form which is appropriate. Consequently, the essay writing popular writing, is made to have a character from cyber space and the cultural goods inland the side which is a produc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is thick first of all. This is motive power of essay literary reconstruction, is becoming the quality which contents production is important.
The three, the community will boil and is an echo toe both sides writing for. Like this mode of life recognition pursues hereafter essay literature also to be above of one, negotiation of style and medium between with the possible box means becomes the base which is important for a contents production.
목차
1. 서론
2. 문학 환경의 변화와 수필문학의 새로운 정체성
3. 콘텐츠를 위한 수필문학의 글쓰기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