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study on Contents of Internet Media Language Education: With the focus on Participation about Cultural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55~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이번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이러한 논의가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은 안정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는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을 지식, 기능, 문화, 태도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상세화하였다. 그리고 상세화한 범주에 따라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터넷 매체에 관련된 교육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특히 문화 범주의 교육 내용이 부족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문화 기호학적 방법과 정의적 사고 활동을 참고하였다. 인터넷 매체 텍스트를 즐기고, 이야기를 느끼고, 문화 코드를 따져 아는 교육 내용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인터넷 매체 텍스트의 제작은 다른 매체와 달리 소통 현상에 주목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인터넷 매체는 지금 바로 학습자들의 언어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매체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실효성 있는 교육 내용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Many studies about media language education was advanced until now. And then, such arguments are reflected at the recent revision for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re unsettled yet.
This study detailed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from four categories- knowledge, function, culture, attitude. And it analyzed contents of internet media language education about revision for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consequence, it has very few culture category's contents. For that repletion, this study referred Cultural Semiotic methods and emotional thinking activities.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about enjoying internet media text, feeling story, and recognizing through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in a culture code.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at production of internet media text has to pay attention to the communication present state in some other media ways. Internet media is important because it gives a big influence in language life of students, right now. So, It makes us to immediate more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 검토
3. 매체언어 교육내용의 범주 및 세부화
4. 교육과정에 나타난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분석
5. 인터넷 매체에서 문화적 소통 참여의 교육 내용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