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and function of Audience on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희모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393~4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과 글쓰기 이론 분야에서 독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글쓰기 분야에서 독자를 규정할 때 텍스트를 실제 읽어줄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독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독자 정의에 관한 규정과 해석은 의외로 복잡하고 모호하다. 독자에 관한 기존의 관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에 관한 전통적 관점으로, 독자를 실제 책을 읽을 외적 대상으로 보는 경우이다. 둘째 독자에 관한 내면적 관점으로, 독자를 필자의 요구에 의해 호출된 관념적 산물로 보는 경우이다. 셋째 독자를 담화공동체나 해석 공동체와 같이 하나의 담화 집단으로 보는 경우이다. 넷째 독자를 쓰기 과정의 맥락으로 해석하는 경우이다. 첫째와 둘째의 경우는 독자를 하나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이며, 셋째와 넷째는 독자를 관습이나 기능으로 보는 관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독자를 하나의 대상으로 보지 말고 기능이나 역할로 볼 것을 주장한다. 쓰기 독자를 외적 대상으로 보는 관점은 창작 당시의 독자와 실제 책을 읽는 독자가 꼭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독자를 오로지 필자 내면의 산물로만 보는 관점은 지나친 주관주의로 필자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되어 사회문화적인 영향 관계를 찾기가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독자를 담화공동체로 보는 관점은 독자를 기능적 관점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필자를 어떤 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쓴다고 할 때 그 독자 집단의 문화 관습과 담화 관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독자가 일종의 담화 관습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독자 논의에서 기능적 관점을 더욱 확장한 것이 바로 독자를 맥락으로 보는 관점이다. 독자를 맥락으로 보는 관점은 쓰기 과정에서 독자뿐만 아니라 필자 요소, 환경 요소, 독자 요소를 모두 아울러 복잡한 맥락 속에서 독자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부분 학습의 폐단을 없애고 전체 학습을 지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는 독자 분명한 글보다는 독자가 불분명하거나, 보편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을 쓸 경우가 많다. 글쓰기 연구에 따르면 고급필자의 경우 특정한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보다 보편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작성할 때가 교육적 효과가 높았다고 한다. 독자 교육에서 독자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맥락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도 이와 연관이 있다. 글쓰기 교육에서 필요한 것은 독자를 대상으로 보지 않고 기능으로 보는 관점이다.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writing, it is universal that we prescribe audience to anticipated readers. But investigating researches of audience we recognize that it is complicated to define and interpret audience.
The traditional viewpoint is that the audience is considered as the external object. It has a fault that expected reader will not be possible to be the real reader.
The second viewpoint is that the audience is regarded as a fiction. It makes excessive subjectivism because it is only focused on writer in writing process. In result, it has a lack of social interaction.
In the third point, audience is regarded as a discourse community. This viewpoint considers audience as a functional activity. The division between writer and reader break down in the discourse community. In this point the audience is seen as coauthor, as a virtual participant in the production of discourse.
Final point is considered audience as a context. This point also looks upon audience as a functional context which has audience factor, writer factor and environment factor all together. Therefore the final view point will bring advance to the writing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독자에 관한 기존 관점
3. 독자의 역할과 기능
4. 독자 이론과 글쓰기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