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in Partnership of Schools and Families for Improving Media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25~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하여 미디어 교육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교와 가정의 연계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연계 교육 방안은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측면을 통합하는 전략이며, 미디어로 표출되는 사회의 구조와 유형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다.
학교와 가정의 연계 교육의 기반이 될 미디어 교육의 원리를 효과의 원리, 해석의 원리, 공유의 원리, 지식의 원리, 책무성의 원리, 목적성의 원리, 사회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는 교수-학습 내용과 환경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연계 교육 방안으로는 교사와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 교육 내용의 실천과 적용에 관한 논의, 정보의 공유와 조직화 그리고 교육과 관리를 위한 교사-학부모간 다양한 의사소통, 학습과 경험의 통합과 적용의 확대, 교육을 통한 전달에서 전달을 통한 교육으로 전환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titute the principles of media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educational methods in partnership of schools and families for improving media literacy. The teaching methods by partnership of schools and families is a strategy to integrate the theories and fulfilmen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they make students to know social structures and aspects represented by media.
Some principles which support related-education of schools and families are suggested in categoriz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environment. The former are the principle of effect, interpretation, share and knowledge and the latter are responsibility, purpose, sociality and integration.
Educational methods which be linked with schools and families are produced in classifying into education contents and environment. The methods related to education contents are to develop media literacy of teachers and parents, to discuss practice and application about educational contents, and to share and organize information. The educational methods considering media environment are to communicate for education and management between teachers and families, to integrate learning and experience and broaden the range of application, and to intend to change from transmission through education to education through transmission.
목차
1. 서론
2. 미디어 교육의 원리
3. 학교와 가정의 미디어 연계 교육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