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Vocabulary·Grammar Evaluation in TOPIK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주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229~2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교육에서 평가는 학습자에게 향후의 학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들이며, 교수자 역시 향후의 교육 계획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 일부를 이용하여 평가도구의 구성과 평가 항목 등을 먼저 살펴보고, [어휘, 문법]영역과 [쓰기]영역 등 표현 영역의 문제지를 중심으로 정답률을 살펴보고 다음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2급의 평가 목표는 기본 어휘 1,500-2,000개 단어 정도의 문장을 이해하며,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대화가 가능한 정도로서 문항의 형태는 90%이상이 선택형(4지선택형)이며, 나머지가 서술형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의 유형을 분석해 보면 ‘빈 칸 채우기’가 3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맞는 문장 고르기, 형태 바꿔 쓰기, 같은 의미 찾기’ 등이 있다. 이렇게 본다면, [어휘 문법]의 평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이 빈칸 채우기이며, 이외의 방법들이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제 의도면에서 살핀다면, 기본 어휘를 파악하려고 하는 문항, 주요 문법을 파악하려는 문항, 그리고 담화 생성 능력을 파악하는 문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주요 문법 파악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문제가 가장 많고, 연결어미의 사용을 묻는 문항에 편중되어 있다.
평가 후 정답률, 오답률을 조사와 관련된 문법 형태, 연결어미와 관련된 형태의 사용, 보조용언과 관련된 구성, 그 외의 문법 형태, 기본 어휘와 관련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정답률/오답률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것은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음을 보여주며,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적절하게 변별해 주는 기능을 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Evaluation in language education is not only an essential part for students for future learning, but it also is a useful tool for teachers for planning future teaching. This paper first discussed the composition and evaluation items of evaluation tools by using part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nd then examined the right answer rate centered on [Vocabulary·Grammar] section and [Writing] section in order to search for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teaching.
Evaluation goal for the Level II is to understand sentences composed of basic vocabularies of 1,500-2,000 words and to manage conversation to satisfy basic needs. Over 90% of the questions are multiple choice (4 choices) type, with the rest of essay styl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questions, 'filling in blank' type was the most frequent with 35%, followed by such types as 'choose the right sentence, rewriting in different pattern, finding synonyms,' and so 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most common method used for [Vocabulary·Grammar] evaluation is 'filling in blank' with other methods partially used. In terms of the rationale behind, ques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for basic vocabulary, those for major grammar, and those for dialogue generating ability. Among them, questions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major grammar were most frequent, mainly centered on the use of connection endings.
Right answer rate and wrong answer rate after the test were discussed in terms of particle-related grammar, usage of connection endings, composition related with complementary verb, other grammatical type, and basic vocabulary. Extremely high or low right answer rate and/or wrong answer rate indicate failure in controlling the level of complication, thus showing the inability to properly represent the learner's proficiency in Korean.
목차
1. 문제제기
2. 한국어능력시험 평가도구 분석
3. 한국어능력시험의 표현 영역 결과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