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extended nose’ Folktales i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원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179~227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전하는 ‘늘어난 코’ 설화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우선, 한국의 <날아간 행복>과 일본의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의 개요를 중심으로 설화의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늘어난 코’ 설화 <날아간 행복>에는 인간과 지상의 갈등과 동기의 실현, 인간과 천상의 갈등과 동기의 좌절, 수평적 확장의 실현과 수직적 상승의 좌절 등의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에서는 인간과 지상의 조화와 동기의 실현, 인간과 천상의 갈등과 동기의 좌절, 수평적 확장의 실현과 수직적 상승의 좌절 등의 의미를 살필 수 있었다.
제재를 비교한 결과,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는 주체, 도구, 대상, 신격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코를 늘이는 도구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한국은 부채이고 일본은 북이었다. 사건을 비교한 결과,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는 공통적으로 ‘결핍 - 결핍의 제거 - 금지 - 위반 - 결과’의 순서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설화의 결말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한국 설화에서는 신의 엄격성을, 일본 설화에서는 신의 이중성을 읽을 수 있었다.
의미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날아간 행복>과 일본의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는 이야기 차원에서는 같고 담론 차원에서는 다르다고 보아, 두 설화는 친연성과 관련성이 아주 깊은 이야기라고 보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에 나타난 문학교육적 가치를 고구해 보았다.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에는 악행필벌(惡行必罰)의 인과성, 욕망의 상승 의지와 한계, 세계관의 유사성과 다양성 등의 가치가 공통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각 내용 고찰, 내용 이해, 내용 해석의 과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는 가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extended nose’ folktales in Korea and Japan. Therefore, I tried to arrange a outline of Korea's and Japan's .
After I observed the meaning of folktal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outline, I realized that , which is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has meaning of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earth, the realization of motives,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heaven, the realization of horizontal expansion, the frustration of vertical rising and so on. , which is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 shows meaning of ac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earth, the realization of motives,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heaven, the frustration of motives, the realization of horizontal expansion, the frustration of vertical rising, etc.
Considering the materials of two folktales, I noticed that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in the side of subject, the tool, the object and divinity etc. There is the sharp difference in the tool which makes the nose longer. In Korea's folktales the tool is ‘the fan’, while it's ‘the drum’ in those of Japa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incidents results in the fact that both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develop in the order of ‘Lack - Lack Liquidated - Interdiction - Violation - Consequence’.
Howev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end of the folktales. While I can find out the strict divinity through the Korea's folktales, I can do the duplicity of God through Japan's.
When compared with the meaning of the two folktales, Korea'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have close correlation. Because the two folktales are same in the story dimension but different in the discourse dimen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study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extended nose’ folktales in Korea and Japan. In Korea'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commonly appear the values of these; the necessity between evil deeds and punishments, the rising will and limitation of the desire, similarity and diversity of world recognition, etc.
목차
1. 들머리에
2. 한·일 '늘어난 코' 설화의 의미
3. 한·일 '늘어난 코' 설화의 비교
4. 한·일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
5. 맺으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