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서 문화 텍스트 구성과 소설 교육

이용수 14

영문명
Reading Culture Text Construction and Novel Education: Focused on ‘Making Novel Newspaper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주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89호, 81~10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자가 소설을 삶의 문학으로 수용하면서 소설 작품과 사회적, 문화적인 소통을 하고 소설 신문을 구성하는 텍스트를 생산하면서 새로운 독서 문화를 창조하는 과정을 실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제시한다. 소설 신문의 텍스트는 학습자가 삶을 보는 가치관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해석한 소설 감상의 자료가 된다. 이를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혹은 비판적 사고에서 창조된 문화 텍스트로 보았다. 학습자는 소설을 이해의 차원에서만 경험하지 않고 소설 속의 허구적 세상과 학습자 자신이 살아가는 현실적 세상과의 차이를 파악한 후 이를 새로운 텍스트로 창조하여 독서 문화를 구성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이 과정을 통한 문화적 차원의 언어적 실천은 학습자와 소설 텍스트 간의 능동적인 소통을 통해서야만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소설 신문 텍스트는 학습자의 문학적 삶이 재창조된 문화적 텍스트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 소설의 내용을 비평하고 내면화하면서 삶을 이해하는 소설교육이 되도록 하는데 핵심을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actual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y on the process of having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with novel works along with creating a new reading culture by producing the texts that construct novel newspapers as a learner accepts novels as literature of life. The texts of novel newspapers become a material of novel appreciation that a learner has actively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values toward looking at life. These are cultural texts created from creative thinking or critical thinking of a learner. A learner creating into new texts after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bricated world inside a novel and the world of reality where the learner is living in without experiencing the novel at the dimension of understanding is the process which makes up the reading culture. The linguistic practice of cultural dimension through this process can only be established through an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learner and the novel texts. Therefore, the novel newspaper texts can become cultural texts in which the literary life of a learner has been recreated and sets the emphasis on becoming a novel education of understanding life as a learner criticizes and internalizes the contents of novel by oneself.

목차

1. 머리말
2. 소설 작품과의 소통과 독서 문화 텍스트 생산
3. <소설 신문 만들기>를 통한 소설 교육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주. (2012).독서 문화 텍스트 구성과 소설 교육. 새국어교육, (), 81-106

MLA

김영주. "독서 문화 텍스트 구성과 소설 교육." 새국어교육, (2012): 8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