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이용수 4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Directions of Morpheme Analyzers for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철희 정지호 한혜정 김동현 신명선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9호, 635~67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을 탐색하고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에서 형태소 분석기가 활용되는 양상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건에 부합하는 형태소 분석기를 탐색 및 선정하여 모어 화자의 작문 텍스트 200편을 학습자 형태 주석 말뭉치로 구축하고,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전공자 3명이 정확성과 오류를 검증하였다. 결과: 세종 계획의 품사 태그에 의거한 형태소 분석기는 선어말 어미, 연결 어미 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지 않아 교육적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어미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형태소 분석기의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정확도는 약 89.9%였으며, 연결 어미와 보조 용언의 오류가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결론: 첫째, 어미를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세종 계획의 형태주석 체계를 개선하여 확률 기반 모델이 적용된 형태소 분석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에서 분석이 요구되는 형태 정보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 텍스트의 형태 분석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교육용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quirements for using a morpheme analyze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hase, and to explore future tasks. Method: Aspects and problems of using morpheme analyz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viewed, and alternative morpheme analyzers were searched and selected. In addition, 200 texts written by native speakers were constructed as a learner-type annotation corpus, and the accuracy and errors were verified by three majo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ult: As an alternative, a morpheme analyzer that analyzes the ending in detail was selected and the accuracy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accuracy was about 89.9%, and the errors of the connecting endings and auxiliary verbs accounted for more than 40%.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r develop a morpheme analyze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form information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system to utilize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alysis of learner text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 주석 체계의 조건
3. 형태소 분석기의 탐색과 검증
4. 형태소 분석기의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한계와 지향점
-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 진로정체성이 교과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의 작문 교육적 개념화와 의의
-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전략 사용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양상 연구
- 국어교사의 채점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글의 특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 문법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통일 대비 초등 문법 교재의 내용 구성 방안
-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 복합양식문식성 전환 능력의 필요성과 국어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접촉 정도가 요청 화행에서의 공손 표현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독자의 주체성 형성 방향 고찰
- 온작품 읽기 비대면 수업 방안
-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