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이용수 5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Knowledge as a Content of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편지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9호, 9~4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구체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탐색해 보는 시론적 연구이다. 방법: ‘학문 문식성 실천에 필요한 앎의 총체’를 학문 문식성 지식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서 학문 문식성 지식의 성격과 유형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식성 실천의 구성 요소(행위자, 언어, 행위 절차, 원리)를 중심으로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의 지식을 인식론적 지식, 텍스트 지식,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내용 요소를 상세화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마련한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을 발전시키고, 학문 문식성 교육 담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plore the education contents of disciplinary literacy centering on knowledge in order to reify the discourse o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Method: The ‘total of knowledge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disciplinary literacy’ was viewed as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and the nature and types of disciplinary literacy knowledge were explored as educational content. Results: The knowledge in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epistemological knowledge, text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literacy practice (practice subject, language, action procedure, and principle), and content elements for each type were detailed.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content prepared in this study and to further materialize the disciplinary literacy education discours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문식성 교육에서 지식의 의미와 위상
3. 학문 문식성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유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한계와 지향점
-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 진로정체성이 교과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의 작문 교육적 개념화와 의의
-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전략 사용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양상 연구
- 국어교사의 채점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글의 특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 문법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통일 대비 초등 문법 교재의 내용 구성 방안
-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 복합양식문식성 전환 능력의 필요성과 국어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접촉 정도가 요청 화행에서의 공손 표현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독자의 주체성 형성 방향 고찰
- 온작품 읽기 비대면 수업 방안
-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