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Oral narrative creation using Mobile ASR app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천효정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9호, 77~10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수업을 진행하고,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결과물은 구술서사의 특징인 일화적 플롯을 보여준다. 구술 결과물이 기술 형태로 전환될 경우, 학습자는 결과물을 쉽게 수정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수업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론: 자동 음성인식 앱은 구술 자료를 기술 자료로 손쉽게 전환시켜 줌으로써 수정과 공유가 용이하게 도와준다. 또한 자동 음성인식 장치는 학생의 구술 창작 활동에 긍정적 인식을 재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al narrative creation using mobile ASR app. Methods: Oral narrative creation class using ASR app i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The result shows an anecdotal plot characteristic of an oral narrative. When the oral output was converted into a description form, the learner could easily modify the output. Conclusion: ASR app make it easy to edit and share dictations by easily turning them into technical data. In additio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evices can contribute to rethinking positive perceptions of students’ oral creative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음성인식 기술과 구술서사 창작
3.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한계와 지향점
-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 진로정체성이 교과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의 작문 교육적 개념화와 의의
-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전략 사용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양상 연구
- 국어교사의 채점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글의 특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 문법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통일 대비 초등 문법 교재의 내용 구성 방안
-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 복합양식문식성 전환 능력의 필요성과 국어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접촉 정도가 요청 화행에서의 공손 표현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독자의 주체성 형성 방향 고찰
- 온작품 읽기 비대면 수업 방안
-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