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Diagnosis and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Focused 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of Students in the 5-6th Grader Group in Gyeongnam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유정오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9호, 397~43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을 개인 변인별로 진단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언어생활 성찰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과 ‘교과 역량’ 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방법: 경남 지역 5·6학년군 학생을 중심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를 활용한 자가 평가 방식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을 진단한다. 분석 도구는 엑셀과 SPSS를 활용한다. 분석 방법은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개인 변인별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를 분석한다. 결과: 초등학생 개인 변인별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분석 결과, ‘성별·학년·거주 지역·학교 위치’ 변인에서는, 전체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요소별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공감·교류·성찰·중재 능력’ 평균에서 남학생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았다. ‘국어 과목 흥미도·독서 흥미도·월 독서량’ 변인에서는 전체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국어·독서에 흥미를 보이고 월 독서량이 많은 집단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았다. 결론: 역량 평가 도구를 활용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모델’을 제시한 본 연구는 ‘역량 중심 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iagnose and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y personal variables to provide them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on language life and fin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subject competen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Methods: This study diagno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 cative competency’ with the self-directed assessment method utilizing the ‘evaluation index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focusing on students in the 5-6th grader group in the Gyeongnam region. As analysis tools, MS Excel and SPSS are employ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 municative competenc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variables, utiliz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 cative competenc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nd mean of the variables, ‘sex, grade, area of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Howev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an by element, the mean of ‘empathy, com- munication, reflection, and mediation Skills’ was higher in girl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at of boys. In the variables, ‘Interest in Korean Language, Interest in Reading, and Monthly Reading Quant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nd mean. In other words, the mea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of the group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Reading and read much each month was higher,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proposing a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assessment model’, utilizing the competency assessment too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기반 형성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오. (2021).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새국어교육, (), 397-431

MLA

유정오.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새국어교육, (2021): 397-4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