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Diagnosis and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Focused 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the Personal Variables of Students in the 5-6th Grader Group in Gyeongna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9호, 397~43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을 개인 변인별로 진단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언어생활 성찰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과 ‘교과 역량’ 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방법: 경남 지역 5·6학년군 학생을 중심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를 활용한 자가 평가 방식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을 진단한다. 분석 도구는 엑셀과 SPSS를 활용한다. 분석 방법은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개인 변인별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를 분석한다. 결과: 초등학생 개인 변인별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분석 결과, ‘성별·학년·거주 지역·학교 위치’ 변인에서는, 전체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요소별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공감·교류·성찰·중재 능력’ 평균에서 남학생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았다. ‘국어 과목 흥미도·독서 흥미도·월 독서량’ 변인에서는 전체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국어·독서에 흥미를 보이고 월 독서량이 많은 집단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았다. 결론: 역량 평가 도구를 활용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모델’을 제시한 본 연구는 ‘역량 중심 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iagnose and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y personal variables to provide them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on language life and fin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subject competen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Methods: This study diagno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 cative competency’ with the self-directed assessment method utilizing the ‘evaluation index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focusing on students in the 5-6th grader group in the Gyeongnam region. As analysis tools, MS Excel and SPSS are employed.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 municative competenc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variables, utiliz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 cative competenc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nd mean of the variables, ‘sex, grade, area of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Howev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an by element, the mean of ‘empathy, com- munication, reflection, and mediation Skills’ was higher in girl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at of boys. In the variables, ‘Interest in Korean Language, Interest in Reading, and Monthly Reading Quant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nd mean. In other words, the mea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of the group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Reading and read much each month was higher,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proposing a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assessment model’, utilizing the competency assessment too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기반 형성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한계와 지향점
-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 진로정체성이 교과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의 작문 교육적 개념화와 의의
-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전략 사용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양상 연구
- 국어교사의 채점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글의 특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 문법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통일 대비 초등 문법 교재의 내용 구성 방안
-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 복합양식문식성 전환 능력의 필요성과 국어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접촉 정도가 요청 화행에서의 공손 표현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독자의 주체성 형성 방향 고찰
- 온작품 읽기 비대면 수업 방안
-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