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이용수 15
- 영문명
- One Problem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position Method in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 on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은 김중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9호, 433~477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명 방법 성취기준인 ‘구분’, ‘분류’, ‘분석’의 교육내용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보고 쉽고 정확하게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정리한다. 방법: 설명 방법 중 ‘구분’, ‘분류’, ‘분석’으로 한정하며 교사 설문과 교과서, 지도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결과: 교육과정에 ‘분류와 구분’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분류와 구분’을 하나의 설명 방법으로 사용한 교과서도 있고 ‘분류’와 ‘구분’을 서로 다른 설명 방법으로 사용한 교과서도 있다. 교육과정에 ‘분석’, ‘인과’가 각각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의 하위 범주를 교과서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 ‘구분하다’라는 술어는 대상을 ‘분석’할 때도 쓰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제 글에서 사용되는 ‘구분하다’의 용법을 잘못 이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론: 구분, 분류, 분석을 가르치기 위해 교육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구분, 열거, 부연, 상술, 인용 등은 글의 전개 순서를 가리키는 말의 범주에 넣는다. 둘째, 묘사, 서사, 정의, 예시, 분류, 분석, 비교, 대조 등은 설명의 방법을 가리키는 말의 범주에 넣는다. 셋째, 과정, 인과는 분석의 하위 범주에 넣는다. 넷째, 교육과정 문서나 교육과정 해설서에 각 용어에 대한 설명을 명시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eachers who teac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Analysis’ among the explanation methods of the 2015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o organize the ways they can teach accurately will be. Method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Analysis’. Problems are found and solutions are sought through analysis of teacher surveys, textbooks, and guidebook. Results: Some textbooks use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as one explanation method, and some textbooks use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as different explanation methods. The subcategories of analysis are not properly addressed in textbook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to teach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and Analysis. First, Classification, Para- phrase, etc.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words indicating the order of the text’s development. Second, Description, Categorization, Analysis, etc.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words indicating the method of explanation. Third, Process and Causation fall into subcategories of analysis. Fourth, the explanation of each term i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or curriculum commentar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
3. 구분, 분류, 분석 교육의 어려움
4.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명 방법 성취기준의 한 문제
-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컴퓨터 활용 능력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학문 문식성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에 대한 시론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한계와 지향점
- 모바일 자동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구술서사 창작 연구
- 진로정체성이 교과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의 작문 교육적 개념화와 의의
- 초등학생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전략 사용 연구
- 초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양상 연구
- 국어교사의 채점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글의 특징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형태소 분석기의 조건과 향후 과제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구성 제언
- 문법적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통일 대비 초등 문법 교재의 내용 구성 방안
-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 복합양식문식성 전환 능력의 필요성과 국어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접촉 정도가 요청 화행에서의 공손 표현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독자의 주체성 형성 방향 고찰
- 온작품 읽기 비대면 수업 방안
-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