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아시아·태평양 전쟁’ 인식

이용수 62

영문명
Perception of 'Asia-Pacific War' in Sun Woo-hwi's short stories: Focusing on 「Flame」 and 「apocalyps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명원(Lee, Myoung-W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91집, 517~55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선우휘의 소설에 나타난 아시아·태평양 전쟁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기 위해 쓰여졌다. 선우휘는 청년기를 지나면서 일제말기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식민지 조선에서 경험했지만, 그의 소설 속에서 이 전쟁에 대한 체험과 인식은 본격적으로 소설화되고 있지 않다. 그간 선우휘의 소설을 둘러싼 주된 쟁점은 해방기의 좌·우익 간 갈등이나 한국전쟁의 경험을 중심으로, 특히 그의 반공주의자로서의 면모와 관련해 논의되었다. 본고는 그간 선우휘 문학 연구에서 초점화되지 못했던 아시아·태평양 전쟁 인식을 「불꽃」(1956)과 「묵시(默示)」(1971)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불꽃」은 선우휘의 출세작으로 1919년 3.1운동으로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사건들을 학병(學兵) 출신인 고현의 시각에서 연대기적으로 회상하고 있는 작품이다. 「묵시」는 서술자인 ‘나’의 회상을 통해서 아시아·태평양 전쟁기의 이광수의 대일협력 문제를 조명하면서, 일제하 친일문제에 대한 선우휘의 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불꽃」의 경우 주인공인 고현이 학병으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물론 일본의 제국주의·식민주의에 대한 예리한 인식이 부재해 소설의 완성도를 저해한다는 점이 분석된다. 일상성의 지속에서 삶의 안정성을 구가하곤 하는 등장인물들의 세계관은 아시아·태평양 전쟁이나 해방과 같은 역사적 사태의 전개를 ‘혼란’과 ‘공포’, 그리고 ‘부조리’의 감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는 일제의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라는 ‘구조적 폭력’에 대한 정교한 인식의 부재에서 나타나는 문제라고 보았다. 「묵시」는 일제말기 아시아·태평양 전쟁 시기 이광수의 친일협력의 문제를 조명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집중적으로 조명되는 것은 ‘민족을 위한 친일’이라는 주장의 진정성을 둘러싼 해석이다. ‘나’의 선생은 이광수의 적극적인 친일이 일본의 식민주의적 지배를 적극적으로 용인한 것은 문제지만, 이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종결 이후 조선의 ‘자치권’의 확대를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 비롯된 행위라고 주장한다. ‘나’는 이광수의 친일행위에 대한 노골적인 분노로 애초에는 테러를 기획했다가 이러한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단념한다. 선우휘는 자신의 경험을 소설의 주된 소재로 재현해가는 과정에서 일제말기의 아시아·태평양 전쟁에 대한 소설쓰기를 상당 기간 억제했다. 그러나 1965년의 한·일협정을 계기로 해서 식민지 지배책임과 조선인의 친일협력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역사인식의 문제가 분출했다. 아마도 이것이 선우휘로 하여금 「불꽃」에서는 소재적으로만 차용했었던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친일협력 문제를 본격적으로 소설화하게 만들었던 계기일 것이다. 그러나 선우휘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상황적 의미나 이광수와 같은 지도급 조선인들의 친일협력에 대한 역사적 평가의 문제를 결과적으로는 회피했다고 할 수 있다. 그에게는 일본의 제국주의·식민주의의 문제보다 한국전쟁 이후 더욱 견고하게 구축된 냉전체제와 근대화의 문제가 분단된 한국에서 더욱 현실주의적인 규정력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Asia-Pacific War in Sun Woo-hwi's short stories. Sun Woo-hwi experienced the Asia-Pacific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as he passed through his youth, but hi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war are not being published in earnest in his novels. The main issues surrounding Sun Woo-hwi's novels have been discussed, especially in relation to his anti-communist aspect, focusing on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beration period or the tragedy of national conflict.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Sun Woo-hwi's experience of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has been alienated from the subject of intensive lighting in his research on literature, through 「Fireworks」(1956) and 「Apocalypse」(1971). In the case of Fireworks, Sun Woo-hwi's success story is a chronological reminder of the national historical events from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to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Gohyeon, a former student soldier. In the case of Implicit Poetry, it is a novel that sheds light on the issue of pro-Japanese cooperation by novelist Lee Kwang-soo during the Asia-Pacific War through the recollection of the narrator “I” and asks the question of how to evaluate the pro-Japanese issu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case of 「Fireworks」, I analyzed that although Gohyeon, the main character, was set as a student soldier, Japan's perception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s well as the Asia-Pacific War was superficially recognized, hindering the completeness of the novel. Sun Woo-hwi's characters, who sought stability in life from the continuation of daily life, show an attitude in which it accepts and acts with the sense of “confusion,” “horror,” and “absurd”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the Asia-Pacific War or the liberation of korea. This was seen as a problem arising from the lack of sophisticated awareness of ‘structural violence’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In the case of 「Apocalypse」, it is a work that sheds light on the problem of Lee Kwang-soo's pro-Japanese cooperation in the process of intensifying the Asia-Pacific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at is intensively highlighted in this work is the interpretation surrounding the authenticity of Lee Kwang-soo's claim that he is pro-Japanese for the people, which he emphasized in his discourse on war cooperation. The novel's character, “I,” argues that Lee Kwang-soo's active pro-Japanese acceptance of Japanese colonial rule is problematic, but through this argument, it is an act that stems from the strategy to expand korea's autonomy after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 plans terrorism with blatant anger over Lee Kwang-soo's pro-Japanese activities, but gives up after hearing the story of such a teacher. The author analyzed that Sun Woo-hwi's memory of the Asia-Pacific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uppress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his experience as the main subject of the novel. The 1965 Korea-Japan Agreement raised the issue of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atur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how to view Korean pro-Japanese cooperation, which raised the issue of Sun Woo-hwi'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Asia-Pacific War and pro-Japanese cooperation, which was only borrowed from Fireworks. However, to conclude, it can be said that Sun Woo-hwi avoided the issue of historical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sia-Pacific War and the issue of active pro-Japanese cooperation among Korean intellectuals such as Lee Kwang-soo.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anti-communism in the Cold War system, which was more firmly established after the Korean War, was a stronger realist regulation than the problems of imperialism and co

목차

1. 머리말
2. 부조리의 감각과 반(反) 역사주의의 원점
3. ‘1965년 체제’가 상기시킨 이광수의 친일협력 문제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원(Lee, Myoung-Won). (2022).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아시아·태평양 전쟁’ 인식. 한국문학논총, (), 517-552

MLA

이명원(Lee, Myoung-Won).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아시아·태평양 전쟁’ 인식." 한국문학논총, (2022): 517-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