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신극(新劇)’의 자장과 탈피

이용수 19

영문명
The Influence and Breakaway from Singeki(新劇): Kim Woo-jin’s Early Theatre Theory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김동현(Kim, Dong-hyu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1집, 11~5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김우진의 초기 연극평론인 「소위 근대극에 대하야」가 시마무라 다미조(島村民蔵)의 『근대연극의 이론과 실제(近代演劇の理論と実際)』를 기반으로 한 글임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김우진의 초기 연극론을 재론하였다. 『근대연극의 이론과 실제』는 시마무라 다미조가 칼 하게만(Carl Hagemann)의 저서들을 편역하고 자신의 글을 추가한 연극론 서적으로, 1920년 전후 일본 신극계의 상황 속에서 쓰보우치 쇼요(坪内逍遥)의 연극론을 일본 신극 운동의 올바른 방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김우진은 이를 바탕으로 「소위 근대극에 대하야」를 저술하였고, 그렇기에 연극이 인류의 영혼을 해방하고 구제하는 ‘예술’이라는 측면과 함께 그 연장선상에서 연극의 민중 교화 작용을 논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김우진은 근대극의 사회적 사명과 연출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새로운 연극’으로서 근대극을 제시하고, 연극의 교화 작용을 통한 사회 변혁의 가능성을 드러냈다. 이는 국가 및 사회의 안정을 지향하였던 쓰보우치 쇼요의 연극 교화 개념과는 달랐다. 이처럼 김우진의 초기 연극론은 기본적으로 쓰보우치 쇼요의 영향 아래 놓여 있기에, 현철, 윤백남 등 1920년대 초반 신극 담당자들의 논의와 공통점을 보인다. 하지만 식민지 조선이라는 현실에 맞춰 이를 수정하고, 식민지 조선의 ‘새로운 극’으로서 근대극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한 신극 담당자들과 명백한 차이를 보인다. 1921년 극예술협회의 하기 순회공연은 그러한 연극론에 기반한 실천이었고, 이에 대한 식민지 조선 관객들의 열광적인 반응은 그 가능성을 보여준 순간이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dentified that Kim Woo-jin’s early theater article, “About The So-called Modern Theater(「소위 근대극에 대하야」),” was based on Shimamura Tamizo’s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Theater(『近代演劇の理論と実際』).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make Tsubouchi Shoyo’s theatre theory the ideal theory of Singeki(新劇; Japanese New Drama)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early 1920s. Referring to the book, Kim Woo-jin viewed and emphasized theater as an art that liberates the souls of mankind. Considering this fact, His discussion, like any other theater article of colonial Joseon in the early 1920s, was influenced by the Tsubouchi Shoyo’s work. His theatrical theory on the basis of instruction, however, had modified the Tsubouchi Shoyo’s theory to reflect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It was different from Tsubouchi Shoyo’s argument,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through drama. The result was his ‘Modern Theater’ as the new drama, and the practice was a tour of the Geukyesulhyeophoi(극예술협회) in summer 1921.

목차

1. 들어가며
2. 1920년 전후 일본의 신극계와 『근대연극의 이론과 실제(近代演劇の理論と実際)』
3. ‘예술의 원칙’에 대한 강조: 쓰보우치 쇼요의 영향
4. 극장의 지배자인 연출가와 근대극의 사회적 사명: 김우진의 ‘근대극’
5. 김우진의 초기 연극론으로서 소위 근대극에 대하야 가지니는 의미: 결론을 겸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현(Kim, Dong-hyun). (2022).일본 ‘신극(新劇)’의 자장과 탈피. 구보학보, (), 11-53

MLA

김동현(Kim, Dong-hyun). "일본 ‘신극(新劇)’의 자장과 탈피." 구보학보, (2022): 1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