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육군 초급간부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272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Job Stress Scale for Army Offic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경미(Lee Kyung M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3호, 269~28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군 간부들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군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논문이다. 군 간부들이 직무스트레스로 업무효율이 떨어지면 군 전투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들은 이러한 군 간부의 직무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 간부의 직무 특성을 반영하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문항 추출단계에서 기존의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구성요인과 육군 간부의 직무스트레스 특성을 고려하고, 육군 간부 90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8명이 내용타당도를 검증해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둘째, 예비문항에 대해 육군 간부 287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문항에 대하여 육군 간부 36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육군 간부 직무스트레스 척도 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20문항을 선정하였다. 추출된 4 요인은 ‘상명하복’, ‘업무과다’, ‘사고불안’, ‘평가압박’이다. 둘째,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4 요인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척도와 기존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들과 상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육군 간부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문항 내적 합치도와 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초로 육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한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해군과 공군 간부를 포함하고,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표본을 수집할 뿐만 아니라 부사관과 위관급 장교 및 영관급 장교의 비율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excessive job stress tends to cause military officers to lower their job efficiency and pay less attention to their base management, which can weaken the military combat pow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job stress level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make efforts to reduce the job stress. In the previous job stress studies of military officers, the items of the job stress scale developed for the general public were modified to fit to the military. The existing job stress scales have limitations not to reflect such job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officers. In this study, by the reflection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officers, the following job stress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irst, in the preliminary stage of item sel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existing job stress sca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stress of military officers and in the reference of the survey results over 90 army officers, 8 expert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and selected the preliminary items. Second, 287 army officers were surveyed with the extracted preliminary items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the final items. Third, 365 army officers were surveyed with the final items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job stress scale modified and adapted from the existing one for the military officers and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inal 20 items were selected for the job stress scale items for the army officer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 factors extracted by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 officers were ‘superiors command and subordinates obey’, ‘excessive work’, ‘anxiety about accidents’, and ‘pressure about evaluation’.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of this scale shows that the fit of the four factors is good.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is scale and the existing work stress scale show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ncurrent validity. In addition,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of the job stress scale for army officers and the retest reliability are found to be go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nd validated the job stress scale which can measure the job stress level of the army officers accurately for the first time. It is expected that this scale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management of the troops by accurately finding out the level of the job stress of the army officers suffering from the job stress but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education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he job stress.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미(Lee Kyung Mee). (2021).육군 초급간부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전문화연구, (13), 269-287

MLA

이경미(Lee Kyung Mee). "육군 초급간부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전문화연구, .13(2021): 269-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