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시대 영유아기 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35

영문명
A Study on the Stress of Young Children’s Parents in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성현(Kim Seong Hyu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3호, 375~39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메르스와 같은 지난 감염병 상황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족 상황에서의 다양한 스트레스는 연구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수행을 기반으로 앞으로의 전염병 관련 상황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여부, 자녀 연령, 가정 수입, 맞벌이 여부 등의 배경 변인을 기준으로 한 코로나19 및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 배경변인이 코로나19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양육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인 용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모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 검증과 중다회귀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여부, 수입, 자녀연령, 맞벌이 여부에 따라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타인에 대한 분노는 수입, 자녀 연령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맞벌이 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부모의 고통 하위요인에서는 모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배경변인이 코로나19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저소득 가정, 영아기 자녀를 둔 가정과 맞벌이 가정의 코로나19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가정의 배경변인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요인별로 결과가 달라짐을 살펴보았을 때 부모의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지원 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및 부모의 배경 변인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시대의 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와도 관련성이 있기에 전염병 상황에서 부모의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of parents in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Corona 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In spite of experiencing past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such as MERS, various stresses in family situations that may arise from these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ccumulate basic data on various risk factors that threaten the mental health of families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future infectious disease-related situ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COVID-19 and parenting stres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parental status, children s age, family income, and dual-income statu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rental background variables on COVID-19 stress was analyzed.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was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VID-19 Stress Scale for Koreans and Shortened Parenting Stress Scale .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VID-19 stress according to mother and father, income, age of children, and whether or not to work as a dual worker. Among the sub-factors, anger towards others did not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income or children s a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was a dual income. In detail, in the parental pain sub-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ll background variables. Third, socio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reduce the COVID-19 stress of mothers, low-income families, young families such as infants, and dual-income families. Second,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are different for each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b-factors of stress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when applying for parental stress relief. Lastly, since the stress of the COVID-19 pandemic is also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ort system to alleviate various stresses of parents in the case of an epidemi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현(Kim Seong Hyun). (2021).코로나19 시대 영유아기 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3), 375-390

MLA

김성현(Kim Seong Hyun). "코로나19 시대 영유아기 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3(2021): 375-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