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
- 영문명
- Effects on friendship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music activities after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혜성(Chang, Hae-Sung) 장혜원(Jang, Hae-Wo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27~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된 방과 후 교실에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게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일반학생이 지각하는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방과 후 교실에서 장애학생과 함께 참여하는 K 어린이집과 M어린이집의 일반학생 37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 사후검사 통제집단 실험설계이었으며, 중재는 음악놀이, 즉흥연주,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에 맞추어 동작하기로 구성된 음악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음악활동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하위영역인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애착 자존심고양, 신의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그리고 음악활동은 일반학생의 성별, 학년에 상관없이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를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음악활동을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장시켜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 보여준 음악활동이 일반학생들 간의 관계개선에 대한 연구초점에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 개선을 위한 중재전략으로 음악활동을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We researched how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changed through music activities after school. Research plans were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with matching.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of music play, improvision, play music, songwriting, and movement with music. As results of research, music activities meaningfully improve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lso meaningfully improve play/association, pro-social action, intimacy, attachment/self-esteem, loyalty. Music activities improve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y regardless of student s sex and grade. Through this research, music activities are proved to b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 with disability. We researched how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changed through music activities after school. Research plans were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with matching.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of music play, improvision, play music, songwriting, and movement with music. As results of research, music activities meaningfully improve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lso meaningfully improve play/association, pro-social action, intimacy, attachment/self-esteem, loyalty. Music activities improve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y regardless of student s sex and grade. Through this research, music activities are proved to b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friendship of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 with disability.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V. 제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