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이용수 1
- 영문명
- Review of 2008 curriculum for school of challenged students and its alternatives in terms of education of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성종(Gang, Seong-Ja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335~3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2009년 3월 1일부터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은 유치원, 초등학교 1, 2학년부터 순차적 시행, 기본 교육과정은 전면 시행을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몇 가지 개정의 취지 중에서, 현행 특수학교 교육과정 시행 및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중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중도·중복화 경향의 심화’에 주목하였다.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중도·중복화 경향이 심화되어 가는 실제 속에서 이들에게 적용하게 될「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탐색해 본 결과, 일반학생, 경도장애학생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교육적 특성과 요구 반영이 미흡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수교육의 특수성과 일반성 상호간의 불일치에 의해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활동 상황에서 혼란을 가중 시킬 수 있으므로 적극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의 형태를 갖추고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과정적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활동 및 향후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의 기초자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2008 amended curriculum for school of challenged students」will enter into force from the date of March 1, 2009, It will first apply to kindergarte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will extend. Given the situation,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trend that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of students required to have special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get deepening among several issues arising out of 2008 amended curriculum, especially during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Under the circumstance that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of students required to have special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get deepening, review of 2008 amended curriculum for school of challenged students from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of students point of view revealed the problem that the curriculum should differ form the ordinary or mild disabled students but it doesn t fully reflect such requirement. This problem or the breach between speciality and generality, shown in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students may cause more confus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easiness of the education for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in the manner of literature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function as the basic information of education for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in the field and the curriculum study for them. 「2008 amended curriculum for school of challenged students」will enter into force from the date of March 1, 2009, It will first apply to kindergarte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will extend. Given the situation,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trend that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of students required to have special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get deepening among several issues arising out of 2008 amended curriculum, especially during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Under the circumstance that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of students required to have special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get deepening, review of 2008 amended curriculum for school of challenged students from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of students point of view revealed the problem that the curriculum should differ form the ordinary or mild disabled students but it doesn t fully reflect such requirement. This problem or the breach between speciality and generality, shown in education for the challenged students may cause more confus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easiness of the education for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students in the manner of literature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function as the basic information of education for the severe and multiple disabled in the field and the curriculum study for them.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적 특성
Ⅲ. 특수학교 교육과정 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 탐색
Ⅳ.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교육과정 대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