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Concept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옥인(Lee, Ok-In) 박중휘(Park, Joong-Hu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363~37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장애유무,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북도 내 5개 대학교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 87명에게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문적 자아 영역의 평균 점수는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학문적 자아 영역의 평균 점수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자아개념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무에 따른 비학문적 자아개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의 유무와 성별에 대한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무에 따른 총 자아개념 점수와 성별에 따른 총 자아개념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장애대학생을 위한 자아개념 프로그램과 같은 실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oncept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of gender to their self-concep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7 disabled and non- disabled students at five different colleges in the city of Daejeon and south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A self-concept inventory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self-concep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academic self mean scores, but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in nonacademic self average scores.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otal self-concept. Whether they were disabled or not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nonacademic self-concept, and gender produc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ither. As for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and gender, their interac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and gende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otal self scores, eith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as a necessity to lend more authentic assistance to disabled students, such as a support of a self-concep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oncept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of gender to their self-concep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7 disabled and non- disabled students at five different colleges in the city of Daejeon and south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A self-concept inventory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self-concep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academic self mean scores, but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 was found in nonacademic self average scores.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otal self-concept. Whether they were disabled or not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nonacademic self-concept, and gender produc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ither. As for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and gender, their interac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and gende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otal self scores, eith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as a necessity to lend more authentic assistance to disabled students, such as a support of a self-concept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