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Basic Composition Factor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t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s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성(Lee, Hyo-Sung) 김언아(Kim, Eon-A) 황수정(Hwang, Su-Jeo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195~2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직업능력개발센터 훈련생의 직업선택 및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훈련교사, 훈련생, 훈련 후 근속 근로자, 관련 분야 교수 등이 참여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애인이 성공적으로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능력(지식 및 정보·기술·태도·경험)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이 성공적으로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식 58문항, 기술 39문항, 태도 62문항, 경험 39문항이 도출되어 항목별 중요도를 파악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요소를 활용하여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보여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basic compositions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supporting job retention of trainees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s which is under the auspice of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consisting of trainers, trainees, post-trainees with work, and related professors, and by using the delphi method.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What abilities(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ttitude, experience) are needed to obtain and retain jobs successfully? As a result, 58 items on knowledge, 39 items on technology, 62 items on attitude, and 39 items on experience were extracted.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level of importance. Furthermore, they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al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