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이용수 1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Intervention Studies for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희선(Chung, Hee-Sun) 남경욱(Nam, Kyoung-Uc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149~1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특징과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특수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중재논문 83편을 대상으로 발표연도, 게재 학회지,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대상, 연구설계, 중재기간,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의 수는 2000년대 후반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각 연구에서 독립/종속변인들은 개념과 용어들의 정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은 유, 초등학생에 편중되어 있고, 연구대상 수는 5명 이하이며, 연구방법은 사례연구, 측정은 관찰이 대부분이었다. 이로 인해 연구의 엄격성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본 결과에 의거하여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점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search synthesi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tween 1990 and 2007. An extensive search process yielded a total of 83 intervention studies that met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ynthesi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s of publication, journals of publication,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participants, types of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period and measurement instrument.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were increased after the middle of 2000s, and the concepts and terms in the studies need to be refined. Second, the major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less 5 young children with cognitive or emotional disabilities. Most of the research design applied was case study. Major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studies were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search synthesi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tween 1990 and 2007. An extensive search process yielded a total of 83 intervention studies that met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synthesi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s of publication, journals of publication,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intervention participants, types of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period and measurement instrument.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were increased after the middle of 2000s, and the concepts and terms in the studies need to be refined. Second, the major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less 5 young children with cognitive or emotional disabilities. Most of the research design applied was case study. Major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studies were obser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