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이용수 1
- 영문명
-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 Qualitative Inquir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권회연(Kweon, Hoe-Yeon) 전병운(Jeon, Byong-U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259~2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가족 간 협력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나선형적 심화-확인 모형인 DRS(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1차 면담조사에서는 특수학교 학부모 4명, 특수학급 학부모 4명, 특수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였으며, 질문지 조사에서는 1차 면담조사에서 나온 내용을 토대로 영역별 작성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대전 지역 학부모 63명을 대상으로 응답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 면담조사에서는 특수학교 학부모 2명, 특수학급 학부모 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결과의 해석을 최종적으로 통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위하여 협력에 관한 (1) 일반적 사항, (2) 부모교육 및 부모지원 프로그램관련 내용, (3) IEP관련 문항, (4) 다학문적 팀접근, (5) 학교 참여 및 기타 사항을 1차 면담조사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다양한 영역 간 협력에 관한 논의와 프로그램에서 밝힌 협력의 성공적 요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협력의 경험들을 제시하고 재인식하며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논의에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for disabled students. Wit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inquiry method, DRS(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This method included 1st interview, questionnaire inquiry, 2nd interview. 1st interview were participated 4 mothers of disabled students at general school, 4 mothers of disabled students at special school,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ntext based on 1st interview reflected on questionnaire inquiry for 63 mothers, and the questionnaire inquiry also reflected 2nd interview for 7 mothers.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general Collaboration facts, (2) a collaboration at parent education and parent support program, (3) a collaboration at IEP, (4) a collaboration at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es, (5) a collaboration through participation at school. A successful facts in future family-support program were deduced through a researches about collaboration from various fields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integrated with this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for disabled students. Wit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inquiry method, DRS(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This method included 1st interview, questionnaire inquiry, 2nd interview. 1st interview were participated 4 mothers of disabled students at general school, 4 mothers of disabled students at special school,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ntext based on 1st interview reflected on questionnaire inquiry for 63 mothers, and the questionnaire inquiry also reflected 2nd interview for 7 mothers.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general Collaboration facts, (2) a collaboration at parent education and parent support program, (3) a collaboration at IEP, (4) a collaboration at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es, (5) a collaboration through participation at school. A successful facts in future family-support program were deduced through a researches about collaboration from various fields related with special education integrated with this conclusion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가족간 다양한 협력의 개념과 유형
Ⅲ. 1차 면담조사
Ⅳ. 질문지 조사 및 2차 면담조사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