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Assistive Technology in Korea : Focused on Journals i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1998 to 2008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동훈(Jeong, Dong-Hoo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97~1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내 보조공학 관련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현재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또는 등재후보 학술지 중 특수교육 및 재활 관련 학술지 총 14종, 13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보조공학 장치 및 서비스 세부 분야 등의 4개 부분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전반적으로 보조공학에 대한 개념정의와 소개, 실태를 파악하고 법적, 제도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서설적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고 임상중재에 따른 효과 검증이나 사용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실용적 중재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었다. 연구방법의 분석 결과에서도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반증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장애 유형의 장애인 당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지만 보조공학 서비스 팀의 중요한 일원으로 판단되는 보호자 및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저조한 편이었다. 보조공학 세부 분야에 따른 분석 결과는 보완대체의사소통과 컴퓨터 보조교수 및 ICT와 같은 특정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대상과 분야의 보조공학 임상적용을 다룬 중재연구의 확대와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 등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ssistive technology. For this, 133 articles were selected from fourteen journals i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1998 to 2008. The 133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opics of research, methodology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area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ssistive technology research efforts seeme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 such as AAC, CAI, and ICT. Based on this findings, necessity of more clinical intervention study was suggested, also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a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ssistive technology. For this, 133 articles were selected from fourteen journals i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1998 to 2008. The 133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opics of research, methodology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area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ssistive technology research efforts seeme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 such as AAC, CAI, and ICT. Based on this findings, necessity of more clinical intervention study was suggested, also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as emphasized.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