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오원석(Oh, Won-Seok) 최성규(Choi, Sung-Kyu) 송혜경(Song, Hyea-Gyeong) 송호준(Song, Ho-Ju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 척도의 개발 및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대학생들의 인구 통계학적 배경 변인과 장애인에 대한 간접 경험과 직접 경험 정도이며,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는 장애인의 결혼, 장애인의 직업재활, 재정지원, 통신지원, 장애인과의 생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을 살펴보면 먼저 연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연구도구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5개 요인의 2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s α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792로 비교적 신뢰로운 도구였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는 대체적으로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이 긍정적이며, 특수교육관련학과 재학생이 다른 전공 학생에 비해 긍정적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에서는 장애인의 결혼 그리고 장애인과의 생활에 대하여도 부정적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의 직업 재활, 재정지원 등에 대하여는 긍정적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인에 대한 통신 지원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장애인과의 생활에 대한 태도는 직접 경험 정도와 접촉 빈도 그리고 직업 재활에 대한 태도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며, 기타 변인들과는 일관된 상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attitude toward disabil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The subjects were 292 college students, and the variables include indirect experiences with the disabled and the degree of encounter with them in addition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ollege students. Their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was analyzed in the domain of marriage with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inancial support, communication support, and living with the disabled.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esearch tool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n attempt to test the tool s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20 items of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Cronbach s α, its reliability was examined.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792, which means it s relatively a reliable tool. Secondly,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owards the disabled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ose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m than the students with other majors. The subjects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living with the disabled among the subareas of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But their attitudes were positive towar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Especially they display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support for the disabled. And finally,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living with the disabled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degree of encounter, frequency of contac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doesn t have consistent correlations with the other variabl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attitude toward disabil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The subjects were 292 college students, and the variables include indirect experiences with the disabled and the degree of encounter with them in addition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ollege students. Their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was analyzed in the domain of marriage with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inancial support, communication support, and living with the disabled.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esearch tool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n attempt to test the tool s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20 items of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Cronbach s α, its reliability was examined.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792, which means it s relatively a reliable tool. Secondly,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owards the disabled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ose who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m than the students with other majors. The subjects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living with the disabled among the subareas of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But their attitudes were positive towar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Especially they display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support for the disabled. And finally,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living with the disabled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degree of encounter, frequency of contac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doesn t have consistent correlations with the other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논 의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