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Condition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구신실(Gu, Sin-Sil) 박재국(Park, Jae-Kook) 조영석(Cho, Young-Seu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2권 제1호, 377~3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성마비유아 가족의 역량강화와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 교육기관을 이용하는 뇌성마비유아의 부모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가족지원 실태 및 각 실태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지원 요구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추론함과 동시에, 지원 요구에 대한 의견을 유형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뇌성마비유아 부모가 이용하는 지원서비스는 전문치료, 특수교육, 세금감면 혜택, 보조기구 구입 및 수리 등의 순으로, 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보다 뇌성마비유아에게 직접적인 지원서비스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율이 높은 교육 및 의료 지원서비스 영역에서 특히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만족도는 대체로 낮았다. 그리고 뇌성마비유아의 성별, 연령, 장애등급 등의 변인과 부모의 연령 및 가족의 수입 등의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셋째, 뇌성마비유아 부모가 요구하는 가족지원은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 장애아동 의료비 및 교육비 지원, 부모/조부모/비장애 형제자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및 상담지원, 교육 의료적 지원 정보제공 등 최근 특수교육에서 특히 주안점을 두고 있는 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 the condition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suggest on the empowerment of family function and the effective family suppor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13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ttending in clinic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e concrete findings of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coefficient of utilization indicated the specialty medical treatment in the education and medical treatment support, the assistive equipments buying or repair support in the economic support, the family programs in the social or psychological support, the information offer in the alternative care or the others support. Second, the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as in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But generally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was indic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 of the rearing support on young children and parent s variables. Third, there was tendency of the family support needs on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 medical treatment cost, family programs, counselling, inform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 the condition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suggest on the empowerment of family function and the effective family suppor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13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ttending in clinic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e concrete findings of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coefficient of utilization indicated the specialty medical treatment in the education and medical treatment support, the assistive equipments buying or repair support in the economic support, the family programs in the social or psychological support, the information offer in the alternative care or the others support. Second, the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as in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But generally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was indic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 of the rearing support on young children and parent s variables. Third, there was tendency of the family support needs on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 & medical treatment cost, family programs, counselling, inform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절가동기법이 양 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 운동기능 및 비복근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방과 후 음악활동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 휠체어 농구선수들의 심리적 경기방해요인 분석
-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 학교-가족 간 협력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관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탐색, 문제점 그 대안
- 뇌성마비유아 가족지원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 Rudolf Steiner의 인지학(人智學)적 특수교육 연구
- 특수학교 에듀케어반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구성 요소 개발 연구
-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도와 영향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