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이용수 77

영문명
Features of ‘Ganjaejip’ and the Ganjae School Anthology System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준규(Lee, chun-kyu)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8輯, 311~34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문집은 처음에 시문저작을 詩藁[辭賦 등을 포함한 한시작품, 곧 운문작품]와 文藁[산문작품]로 나누어 보관하던 방식을 따라 크게 詩卷[詩集]과 散文卷[散文集]으로 나누어 시권을 앞에 두고 그 뒤에 산문권을 두는 형태로 편간되었다. 『퇴계집』이 출현한 뒤로는 서간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문집을 시권과 산문권만이 아닌, 산문권에서 서간을 따로 떼어 書卷[書簡集]의 형태로 독립시켜 편집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퇴계집』이 『주자대전』의 체제를 준수해 편간되면서 서권을 기존 산문권 중에서 완전하게 독립시키지 않고 반 독립시킨 형태, 다시 말하면 산문작품을 ‘공용문자→서간→일반산문’의 순서로 편집하였다. 문집을 ‘시권→산문권(공용문자)→서권→산문권(일반산문)’의 체제로 편집하였다. 서권이 산문권에서 완전하게 독립된 형태의 서간집으로 편집된 최초의 문집은 『간재집』이다. 『간재집』은 ‘산림의 학자’의 문집인 『퇴계집』이나 ‘학자형 관료’의 문집인 『율곡집』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문집이다. 경세문자를 남기기 어려운 현실에서, 道學文字로서의 서간이 학문적인 문제를 포함한 당대사의 거의 대부분을 해결한 말 그대로 ‘초야의 학자’ 문집의 전형이 된 문집, 서간 중심의 『퇴계집』에서 한발 더 나아가 서간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진 문집이다. 주자학과 한학이 소멸하는 시기에 도리어 주자학과 한학에 더욱 철저해진 문집이 나오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간재집』은 율곡집』에서 시권을 권10으로 편차한 체제를 본받아 한시작품을 맨 뒤로 돌려 문집 끝에 편집한 『사계유고』와 『동춘당집』의 체제를 이어 한시작품을 맨 뒤로 돌려 문집 끝에 편차해서 김장생 이후 율곡학파 내에서 이어온 사문의 가르침인 시황계를 문집의 체제에 그대로 드러내었다. 아울러 그 외형에서도 목록배치방식에서 『율곡전서』의 목록 배치방식을 적용하여, 수록한 저작 전체의 총목을 맨 앞에 싣고 각 권마다 그 권 앞에 권별 목록을 따로 실어서, 『퇴계집』 계통 문집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도록 하였다. 문집의 외형에서도 율곡학파 적전의 문집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전우는 자신의 문집 간재집』을 이와 같은 체제로 편집해서 ‘李珥→金長生→宋時烈→金昌協→金元行→朴胤源→洪直弼→任憲晦’로 이어지는 율곡ㆍ우암학파의 적통임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학자로서 ‘趙光祖→李滉→李珥’로 이어지는 도학의 적통임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간재집』이 편찬 간행된 이후 간재학파 인사들의 문집, 특히 그 직전 제자들의 문집은 그 체제를 준수해서 편찬되고 간행되었다.

영문 초록

Antholog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stored by first dividing literature production into shigo [Chinese poetry including cifu, in other words verses] and mungo [prose works], and accordingly, it has been divided into the main categories of shigwon [collection of poems] and sanmungwon [collection of proses] and shigwon were placed in the front and sanmungwon in the back. Since the Toegyejip, the weight of letters became much larger and therefore, it became inevitable but to independently compiled anthologies not only with shigwon and sanmungwon, but in a form of seogwon [collection of letters] by taking out the letters separately from the sanmungwon. However, with the Teogyejip being compiled and published in compliance with the ‘Jujadaejeon’ system, seogwon wa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existing sanmungwon, but into a semi-independent format, or in other words, prose works were compiled in the order of ‘common letters → letters → general proses’. Anthologies were compiled into the system of ‘shigwon→sanmungwon (common letters)→seogwon→sanmungwon (general prose).’ The first anthology that was compiled into a collection of letters completely independent from sanmungwon was ‘Ganjaejip.‘ ’Ganjaejip’ is a certainly distinguished anthology from Toegyejip, which is an anthology of the ‘scholar of forests,’ and Yulgokjip, which is an anthology of ‘scholarly bureaucrats.’ In a reality where it was difficult to leave behind administrative letters, letters as ethics letters became the anthology that became the model for ‘scholars of the wilderness’ that solved most of the issues at the time including academic problems, and furthermore, it was an anthology that vastly increased the weight of letters from Toegyejip that focused on letters. Basically, at a time when the doctrines of Chutzu and the Chinese classics began cease to exist, an anthology that was even more thoroughly based on the doctrines of Chutzu and the Chinese classics appeared. In addition to this, Ganjaejip it followed the Sagyeyungo and Dongchundangjip that were compiled by being modeled after the system that compiled the shigwon into 10 books from Yulgokjip and placed the Chinese poetry pieces at the end of the anthology, thereby compiliing Chinese poetry at the end of the anthology to show the Shihwanggye, which are teachings of the four writings that were passed down within the Yulgok school since Kim Jang-saeng. Furthermore, the list arrangement method of the Yulgokjeonseo was applied to the list arrangement method in its appearance, and thus, the complete catalogue of books of all writings were placed in the front and the list of each book was included in the very front of each book, differentiating it clearly from Teogyejip style anthologies. It clearly shows that it is an anthology of the Yulgok school style even in the appearance of the anthology. Through this, Jeon Woo compiled his anthology Ganjaejip with such system to pronounce that he is the official heir of the Yulgok/Uam School that was passed down in the order of ‘Yi I→Kim Jang-saeng→Song Shi-ryeol→Kim Chang-hyeop→ Kim Won-haeng→Park Yoon-won→Hong Jik-pil→Lim Heon-hoe’ while also clarifying that as a scholar, he is the official heir that was passed down in the order of ‘Cho Gwang-jo→Lee Hwang→Yi I’. Since the Ganjaejjip was compiled and published, the anthologies of those from the Ganjae School and especially the anthologies of direct students observed this system during compilation and publication.

목차

1. 서론
2. 조선시대 문집의 두 유형, 『퇴계집』 계열과 율곡집』 계열
3. 『간재집』과 간재학파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규(Lee, chun-kyu). (2021).『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58 , 311-344

MLA

이준규(Lee, chun-kyu). "『艮齋集』과 艮齋學派 문집 체제의 특징과 그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58.(2021): 311-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