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유전 양상과 성격

이용수 51

영문명
heredity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c novel collected in Yoo-Il-jae Jongtaek of Gwang-San Kim Clan’s*27)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한의숭(Han, eui-soo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8輯, 469~49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惟一齋 金彦璣(1520-1588) 宗宅 소장 자료 가운데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고전소설 자료 2종을 소개하고 성격을 밝히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유일재 종택에 소장 된 고전소설은 「金靑楠夢遊錄」과 「崔陟傳」이다. 「김청남몽유록」은 학계에 새롭게 소개되는 작품으로 작중 인물인 김청남이 조선과 중국의 역대 도읍지 및 절의를 상징하는 특정한 장소를 주유하고 이에 대한 감회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는 해당 장소나 공간이 지닌 장소성을 통해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내면적 지향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조선과 중국의 왕조 도읍지 및 절의를 표상하는 핵심 장소와 공간을 주유하는 서사를 통해 역사적 장소에 대한 회고가 그것이다. 특정한 지역과 장소에 부여된 역사적 상징을 소환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장소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환기시켜 상반된 현실의 부면을 자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작가는 몽유록이라는 우의적 서술 방식을 활용하여 당대를 바라보던 영남 사인의 시대 인식의 일단을 문학적으로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새롭게 소개하는 「최척전」 이본인 유일재 종택 소장본은 佳野肯構堂宅이란 소장주기와 光山后人·金致祥甫·聖應家藏이란 方印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소장자는 유일재 김언기의 5대손인 김치상으로 그의 생몰연대를 통해 유일재 종택본「최척전」이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반에 필사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새롭게 발굴, 소개된 가문 내 고전소설 자료를 통해 가문 중심 문헌 유전 양상과 장서인 문화를 전통시대 기록 문헌과 관련하여 주목하였다. 유일재 종택 소장본 「김청남몽유록」과 「최척전」은 가문 내 문헌의 유전 양상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장서인이 담겨 있다. 가문 내 문헌 전승과 장서인 문화의 관계는 전통시대의 기록문화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문헌 기록의 전승이 가문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문화적 전통은 기록 문화의 한 축에 가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전통시대 기록 문화를 교육하는 시각에 있어서 문헌 뿐만 아니라 문헌을 전승하던 주체에 대해서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designed to introduce two types of classic novel material s unknown to academia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 among the materials of Yoo-Il-jae, Kim Eon-ki’s old house. Classical novels housed in Yoo-Il -jae s Jongtaek include 「Kim-Cheong-Nam-Mong-Yoo-Rok(金靑楠夢遊錄) 」 and 「Choi-Cheok-Jeon(崔陟傳)」. 「Kim-Cheong-Nam-Mong-Yoo-Rok」 is a new introduction to academia and is described in a way that Kim, Ch eong-nam goes around certain places symbolizing integrity and capitals o f Joseon and China and records his gratitude for them. This can be said to be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internal orientation that the writer wants to express in his work through the place or space. In other words, it is to recall the historical place through a narrative to go around the k ey places and spaces that represent Joseon and China s royal cities and i ntegrity. By summoning historical symbols granted to a particular region and plac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ame place is evoked so that we are aware of the conflicting reality. The writer seems to have tried to ex press literary awareness of the era of the scholar of Yeong-nam, who w as looking at the times by using the narrative method called Mongyurok At the same time, the newly introduced copy of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is drawing attention as it has a record of the owner of Ga-ya-gueng-Gu-dang House and stamps of Gwang-san-hu-in, Kim-Chi-Sang-bo, and Seong-eung-ga-jang. The owner of the house is Kim, chi-sang, the fifth generation grandson of Yoo-Il-jae Kim, Eon-gi,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was transcribed from the mid-17th to early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hich is newly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classic novel materials in the family, focused on family-oriented literature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in relation to traditional documentary education. The collection of Yoo-Il-jae s Jongtaek, 「Kim-Cheong-Nam-Mong-Yoo-Rok」 and 「Choi-Cheok-Jeon」 contains stamp of books, an important data to identify the genetic aspects of the family s lit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transmiss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contains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period.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transmission of literature records centered on the family shows that the fami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xis of record cultu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the literature, but also to the subjects who passed on the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the traditional recording culture.

목차

1. 머리말
2.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문헌 자료의 유전 양상
3.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성격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의숭(Han, eui-soong). (2021).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유전 양상과 성격. 동양한문학연구, 58 , 469-491

MLA

한의숭(Han, eui-soong).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유전 양상과 성격." 동양한문학연구, 58.(2021): 469-4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