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유적의 라키비움 구축과 디지털 트윈 전략

이용수 1196

영문명
The Establishment of Larchiveum and the Digital Twin Strategies of Cultural Ruins : Centering on the orientation of Manwoldae Digital Archive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양정석(Yang Jeongseok)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라키비움에 대한 논의는 주로 아카이브기능을 하는 기록관의 영역이 확장하는 과정에서 도서관과의 관계, 나아가 전시라고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박물관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인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는 이미 아카이브가 일정한 수준으로 구축되어 있는문화유적과 관련된 분야에서도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사와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라키비움 구축이 현 단계에서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새롭게 구축된 만월대 디지털 전시관과 관련하여 확장시켜 보았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라키비움을 구축하기에충분한 여건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미 대부분의 자료가 디지털화되었고, 나아가 해당유적에 대한 디지털 트윈화도 시도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에 접근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개성의 만월대 문화유적은 현재의 상황에서 실제로는 접근하기 어렵지만 디지털기술을 이용한다면 개성이 아닌 또 다른 장소, 즉 가상공간에 존재하면서 그 안에 다양한정보가 체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메타버스적인 접근이 가능한 곳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디지털 트윈기반의 라키비움에서사용자들은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계를 쉽게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iscussion of Larchiveum was based on a new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library, or even the relationship with the museum, which has the function of exhibitio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area of the archive. This discussion also took place in areas related to cultural Ruins where archives are already established at a certain level. As a result, various surveys and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discussions on how the construction of the Larchiveum would be possible at this stage. This discussion was extended in relation to the newly built Manwoldae Digital Archives. In the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Manwoldae Digital Archives were found to b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Most of the data has already been digitized, and furthermore, digital twinization of the ruins is approachable. If this is possible, the Manwoldae Cultural Heritage in Gaeseong is inaccessible in reality in the present situation, but using digital technology could be another place other than Gaeseong, where various information can be systematically provided to users. And with this digital twin-based Larchiveum, users will be able to easily meet a new world called Metaverse.

목차

Ⅰ. 들어가며: 만월대 디지털 기록관으로 들어가는 또 다른 문
Ⅱ. 만월대 디지털 기록관의 지향점에 대한 재검토
Ⅲ. 지향점 중심 아카이브 비교 검토
Ⅳ. 만월대 남북공동발굴조사 특별전과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
Ⅴ. 새로운 제안: 라키비움 개념의 채용과 디지털 트원 만월대
Ⅵ. 나가며: 디지털 트윈기반 라키비움과 메타버스 속의 사용자와의 만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석(Yang Jeongseok). (2020).문화유적의 라키비움 구축과 디지털 트윈 전략. 백산학보, (118), 63-94

MLA

양정석(Yang Jeongseok). "문화유적의 라키비움 구축과 디지털 트윈 전략." 백산학보, .118(2020):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