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가와자유형 네트워크의 확산과 상호작용

이용수 400

영문명
The network and interaction of Zhengjiawazi Assemblag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후석(Yi, Huseok)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147~18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가와자유형은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가 요동지역으로 전이되어 형성되었다는 측면에서 십이대영자문화의 하위유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과거부터 주목받았지만, 많은 관심이나중요도에 비해 정가와자유형만을 연구주제로 한 연구성과는 매우 부족하다. 여기서는 이를감안하여 정가와자유형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그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 대외 교류및 사회 관계를 중심으로 그 확산 과정을 재검토하였다. 정가와자유형은 처음에는 심양 일대를 거점으로 발전하였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발전한다. 정가와자유형의 문화요소들은 대개 요서지역과의 교류 과정에서수용되었는데,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는 청동유물 외에 토기문화와 매장문화까지 전이되는양상으로 보아 단선적인 물적 교류 외에 인적 교류까지 있었다고 생각된다. 정가와자유형관련 유물들이 요동~북한지역은 물론 내몽고와 산동반도까지 확인되고 있어 가장 광범위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정가와자유형의 발전 과정은 전국시대 이후 심양-요양 일대에서 천산산맥 일대를 거쳐북한 방면으로 점적으로 확산되어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양상으로 요약된다. 정가와자유형의시공간성이 전기 고조선과 관련되는 문헌 기록과 부합되며, 문화 내용의 통시적인 계승성과공시적인 확장성이 강한 점을 고려하면 고조선과 관련되는 물질문화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Zhengjiawazi Assemblage is understood as a subtype of Shiertaiyingzi Culture in terms tha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in Liaoxi area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ough it has drawn interests from the past,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on the topic of Zhengjiawazi Assemblage considering the interest and importance. Here,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study finds out how the Zhengjiawazi Assemblage changed based on the general analysis and how it spread focusing on the outside exchange and social relations. Zhengjiawazi Assemblage was first developed around Shenyang but it later developed around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Zhengjiawazi Assemblage’s cultural factors were mostly accepted during the exchange with Liaoxi area. In addition to bronze artifacts which require high level of technology, pottery culture and burial culture show that there were interpersonal exchanges in addition to uninterrupted physical exchanges. It may be said that as the relics related to Zhengjiawazi Assemblage are found up to the northern part of Inner Mongolia and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Shandong Peninsula, it can be said to have formed the widest exchange network.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Tianshan Mountains to North Korea area during its development.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Ancient 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related to Ancient Joseon. For thi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 분포와 시기 구분
Ⅲ. 주거지와 무덤 분석
Ⅳ. 주요 유물 분석
Ⅴ. 네트워크와 상호작용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후석(Yi, Huseok). (2020).정가와자유형 네트워크의 확산과 상호작용. 백산학보, (118), 147-184

MLA

이후석(Yi, Huseok). "정가와자유형 네트워크의 확산과 상호작용." 백산학보, .118(2020): 147-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