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자료 서술 특징과 시사점

이용수 44

영문명
Narrativ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in British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the Textbooks of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대연(Daeyoun Ch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4호, 59~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하여 고고학 자료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영국에서는 1988년부터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 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앙정부에서 역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왔다. 가장 최근인 2014년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에 따르면 고고학 자료가 주로 서술되는 영국의 선사시대, 고대사, 그리고 바이킹 시대까지의 학습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고학년 연령대에서 집중적이고 수준 높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다. 이러한 현황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초등학교 3-6학년에 해당되는 ‘주요단계 2(Key Stage 2)’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교과서로 영국의 대표적인 교과서 출판사 중 한 곳이라고 할 수 있는 CGPbook에서 출간한 역사교과서(KS2 History 시리즈) 총 4권을 선정하여 선사시대, 로만브리튼 시대, 앵글로색슨족, 그리고 바이킹 시대에 이르기까지 고고학 자료의 제시와 설명양상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 역사교과서에서 다양한 영국 및 유럽의 고고학 자료들 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영국의 중고등학교 단계에서는 근현대사를 주로 다루게 되므로 교과서에서 고고학의 서술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처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역사교과서 현황과 확연히 다른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서술 양상은 해당 교과서를 이용한 역사교육이 해당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또한 영국 역사교과서에서 확인되는 고고학 자료의 적절한 활용은 현재 고고학의 대중화를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한국고고학에 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narratives in British history textbooks, where modern archaeology was established early. In the England,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n place since 1988, and the government has provided guidelines on what should be taught in history classes. According to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of British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is intensively taught at the Key Stage 2, which corresponds to the 3rd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it is very characteristic that archaeological descriptions are intensively taught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history textbook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national curriculum in 2014, English students focus on prehistory, the Roman Britons, the Anglo-Saxons, and the Viking Age in the Key Stage 2, and in middle school, they move on to medieval history, and in high school, the subject of study in history textbooks becomes similar to our world history. In this situation, the history textbook of Key Stage 2, which is the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UK, was able to point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effective use of various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astonishing quality of British history textbooks is likely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n archaeology at the present stage of the full-fledged pursuit of popularization of archaeology. However,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mainly discussed, so the proportion of archaeology in textbooks is relatively reduced. The archaeological narrative aspect of the British history textbooks is considered to be ver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te of history textbook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archaeological narrative in the future and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textbooks on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영국의 각급 학교별 역사교과서의 편제와 고고학 자료의 서술
Ⅲ. 현행 역사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고고학 자료 서술의 특징
Ⅳ. 결론: 고찰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대연(Daeyoun Cho). (2024).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자료 서술 특징과 시사점. 한국상고사학보, (), 59-78

MLA

조대연(Daeyoun Cho).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자료 서술 특징과 시사점." 한국상고사학보, (2024): 59-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