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소아묘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귀속지위의 출현과 양상

이용수 63

영문명
Appearance and Aspect of the Status of Attribution in the Bronze Age from Infant and Children’s Tomb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명훈(Myung Hoo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4호, 141~17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소아묘는 초기철기시대 이후의 사회에서 귀속지위가 출현한 결정적인 근거로 인식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청동기시대에서는 유·소아묘의 출현을 직접적으로 검토하거나 혹은, 더 나아가 유·소아묘를 바탕으로 계층 사회의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골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청동기시대에도 유·소아로 판정된 인골이 늘어나고 있어 주목된다. 청동기시대 유·소아묘는 성인묘와 마찬가지로 피장자 1인을 위하여 조성되었고, 성인묘와 비교하여 배치와 유물 부장에서 별다른 차별이 확인되지 않는다. 특히 유·소아임에도 불구하고 묘역지석묘에 매장된 사례도 있어 석관묘에 매장된 성인보다 높은 신분을 소유한 유·소아의 존재가 짐작된다. 유·소아 인골이 출토된 분묘는 대부분 규모가 작은 소형 매장주체부인 점 또한 주목된다. 이는 기존 연구와도 일치하는데, 소형의 매장주체부가 유·소아묘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소형 매장주체부는 이차장과 관련된 분묘로 이해되는 인식도 있지만 유·소아 인골이 대부분 소형 매장주체부에서 확인되는 점, 성인 인골이 출토된 분묘 중 이차장이 확인되는 사례가 매우 적은 점으로 볼 때 소형 매장주체부는 유·소아의 분묘와 더욱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소아묘의 존재가 분명해진 만큼 청동기시대에도 귀속지위가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청동기시대의 귀속지위는 초기철기시대 이후의 사회처럼 완성된 형태는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묘역지석묘에 매장된 유·소아와 같이 일반 성인보다 높은 신분을 가진 존재의 등장은 구조적 불평등이 시작된 증거로 볼 수 있다. 즉, 초기철기시대 이후 심화한 구조적 불평등은 청동기 시대 내내 강화된 사회적 차별이 폭발한 결과로 볼 수 있고, 그 시작이 유·소아묘의 축조를 허용한 구조적 불평등의 시작, 즉 귀속지위의 출현인 것이다.

영문 초록

Infant and children’s tombs are recognized as the decisive basis for the emergence of attribution status in society after the early Iron Age. On the other hand, in the Bronze Ag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earance or meaning of infant and child tombs. However, even in the Bronze Age, the number of human bones of infants is increasing. The Bronze Age tombs were built for one person in the same way as adult tombs, and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layout and the burial of relics compared to adult tombs. Therefore, the existence of infants and children with high status is assumed. Most of the tombs where the human bones of infants and children were excavated are small. This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it is thought that the possibility of small tombs being infants and children has increased. As the existence of infant and children’s tombs became clear, the possibility that the status of attribution appeared even in the Bronze Age increased.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status of attribution in the Bronze Age was not completed as in society after the early Iron Age. Nevertheless, it can be seen as evidence of the beginning of structural complaints. In other words, the structural inequality that has intensified since the early Iron Age is the result of the explosion of social discrimination that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out the Bronze Age. The beginning was the emergence of a status of attribution that allowed the construction of infants and children's tombs.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소아 인골 출토 사례 분석
Ⅲ. 소형 매장주체부에 대한 검토
Ⅳ. 이차장에 대한 검토
Ⅴ. 청동기시대 귀속지위의 출현과 양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훈(Myung Hoon Lee). (2024).유·소아묘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귀속지위의 출현과 양상. 한국상고사학보, (), 141-178

MLA

이명훈(Myung Hoon Lee). "유·소아묘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귀속지위의 출현과 양상." 한국상고사학보, (2024): 141-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