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은리 출토 장식품으로 본 진한(辰韓)과 진한(秦漢)의 교류

이용수 86

영문명
Exchange between Jin-han and Qin and Han Dynasties in the Perspective of Adornments: Centering on the Adornments Excavated in Eoeun-Ri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동일(Dongil Ki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4호, 241~27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영천 어은리유적 출토 장식품을 통해 진한(辰韓)의 골벌국과 진한대(秦漢代) 중원의 교류 양상을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지고고학적 접근’과 ‘본래 형태로의 대상 복원’을 사용하였다. 인간은 같은 대상이라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유물에서의 묘사가 달라지고, 이것은 유물의 세부 형태 차이로 이어진다. 특정 유물의 묘사가 집단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이것은 집단의 인식이 표출된 것이고, 이를 집단의 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발견된 유물의 잔존품뿐만 아니라, 전체를 복원하여 온전한 형태를 파악하게 되면 일부 유물만으로 전체 형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본래 형태로의 ‘대상 복원’이며, 이상의 두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어은리 출토 장식품 중에서 마차 장식품은 중원의 왕급 무덤에서만 출토되는 마차의 부품이고, 이 때문에 특정 마차 장식품은 그 존재만으로 왕급의 마차와 그 사용자를 상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리형 대구는 유목문화에서 처음으로 제작되었지만 중산이 중원의 제후가 되면서 중산에서 제작되다가 중산이 멸망한 후 고리형 대구는 한반도로 유입된다. 그 배경에는 당시 고조선의 멸망과 한의 영향력 확장을 통해 형성된 새로운 유통망이 영향을 미쳤으리라 추측한다. 이 유통망을 통해 고리형 대구뿐만 아니라 중원의 왕급이 사용하는 마차가 어은리 일대(골벌국)까지 유입된다. 이어 교류의 형태는 ‘수요와 공급’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소비자로 중원의 왕급 존재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공간적으로 매우 먼 영천 어은리 일대까지 유통되었다는 점은 어은리 일대 골벌국의 수장층에게 고급 마차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였고, 동시에 중원과 위계는 다르지만 유사한 지위이자 충분한 구매력을 갖추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골벌국이 낙랑 및 중원의입장에서 왕급만이 사용할 수 있는 마차를 공급하여야 할 만큼 강력한 세력이었음을 반증한다. 정리하자면, 어은리 일대는 진한의 다른 국가들과 낙랑 사이에 위치하였고, 동시에 진한과 변한 의 사이에도 위치하였다. 이 때문에 중원의 입장에서는 골벌국이 교통로의 역할로서 그 가치가 있었으리라 판단한다. 중원은 필요에 따라 골벌국과의 교류가 존재하였고, 이 과정에서 낙랑이 골벌국과 교류를 담당하였다. 즉, 중원과 골벌국의 사이에 낙랑이 위치하고, 낙랑을 통한 간접적인 교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원시적인 시장의 존재도 파악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exchange patterns between Golbeol state of Jin-han and Qin and Han Dynasties through the adornments excavated from Yeongcheon Eoeun-Ri. Analysis methods are ‘Cognitive archaeology’ and ‘restoring the object to its original shape’. Even if it is the same object, its description may vary depending on how it is perceived, and the shape of relics may also be determined by descriptions expressed differently. Collective descriptions that are being repeated can be considered as group perceptions being expressed and can also be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group. If not just currently discovered relics but if the whole relics are also restored, the entire shape can be recognized even with some parts of the relics. This is ‘the restoration of the object to its original shape’. Among the adornments excavated in Eoeun-Ri, chariot adornments are parts of chariots that are excavated only from royal tombs of Ancient China, and through this fact, it can be assumed that the presence of specific chariot adornments indicates that such chariots could only be used by royalties. Although belt hooks were originated from nomad culture, as Kingdom Zhongshan became feudal lords of Ancient China, belt hooks were developed in Kingdom Zhongshan and then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collapse of Kingdom Zhongshan; in this process, belt hooks were also introduced to Nakrang, affected by the establishment of a new distribution network through the collapse of Ancient Joseon and the expansion of Han’s influence at the time. Through this distribution network, not only belt hooks but also chariots that royalties of Ancient China used were introduced into the area of Eoeun-Ri (Golbeol state). As for the type of exchange, the perspective of ‘supply and demand’ can be considered. Although the royal class of Ancient China existed as the closest consumers, the fact that chariots were distributed all the way to Yeongcheon Eoeun-Ri area which is far in distance shows that there was a demand for high-end chariots from the chieftains of Golbeol state in Eoeun-Ri area, and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although the chieftains of Golbeol state might be different in hierarchy, it had a similar position and sufficient purchasing power from those of Ancient China. In addition, it proves that Golbeol state was considerably a powerful force that chariots which only royalties could use for Nakrang and Ancient China were supplied. Since Eoeun-Ri area was located among other countries of Qin and Han Dynasties and Nakrang as well as Byeon-han, it is judged that Golbeol stat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traffic route.

목차

Ⅰ. 머리말
Ⅱ. 어은리 출토 장식품의 사전 검토
Ⅲ. 분석 방법 : 인지고고학적 접근과 대상 복원
Ⅳ. 동물형 마차 장식품의 한반도 유입 과정 검토
Ⅴ. 유통과 소비의 관점으로 본 교류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Dongil Kim). (2024).어은리 출토 장식품으로 본 진한(辰韓)과 진한(秦漢)의 교류. 한국상고사학보, (), 241-274

MLA

김동일(Dongil Kim). "어은리 출토 장식품으로 본 진한(辰韓)과 진한(秦漢)의 교류." 한국상고사학보, (2024): 241-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