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행 역사교과서 내 한국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서술 검토

이용수 11

영문명
A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시은(Si Eun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4호, 33~5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행 중등 역사교과서 내 한국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체계와 서술에 대한 것이다. 역사교과서는 역사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 교재이다. 새 역사교과서의 집필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현행 중등 역사교과서 내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서술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역사교과서의 고대 분야를 살펴본 결과 역사 전공으로만 이루어진 편향된 집필진 구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최근의 고고학 조사 및 연구 성과가 제대로 반영되어있지 않아 고대 문화를 중심으로 한 서술이나 일부 시각 자료 등에서 오류가 상당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고대 분야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문헌사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물질자료를 다루는 고고학 분야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올바른 역사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고고학, 역사학, 교육학 그리고 교육계 간의 긴밀한 협업은 필수적이다. 고고학계는 역사교과서 집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역사학계와의 소통을 시작으로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하며, 향후 교육계와의 협업 등을 통해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체계가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집필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역사교과서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고고학자의 감수 참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the basic framework and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re the most fundamental to history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escriptions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t a time when public interest in archaeology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history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ncient history section not only fails to properly reflect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surveys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archaeology, but also contains errors in related descriptions and some visual material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failure to properly reflect the latest research results by the writing team composed of only history majors. Due to the biased composition of writers consisting of only history majors, errors were found in related descriptions and visual material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materials or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atest research and research results. The ancient field has limitations only with the study of literature history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so assistance in the field of archaeology dealing with material data is essential. In order to properly implement historical education, close cooperation between archaeology, history, education, and the education sector is necessary. First, the archaeological community should start by communicating with the history community, which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of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and then strive to improve the descriptions and system of history textbooks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education community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history textbooks currently being written, at least the participation of archaeologists in the review process is essential.

목차

Ⅰ. 머리말
Ⅱ. 중등 역사 교육과정의 취지와 체계
Ⅲ. 역사교과서 내 고대 분야 서술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시은(Si Eun Yang). (2024).현행 역사교과서 내 한국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서술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 33-57

MLA

양시은(Si Eun Yang). "현행 역사교과서 내 한국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서술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2024): 33-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