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馬韓·百濟·韓濊 권역의 인구변동

이용수 20

영문명
Population Dynamics in the Mahan, Baekje, and Hanye Regions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A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박지영(Jiyoung Park) 김세진(Seji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4호, 213~23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馬韓·百濟·韓濊 권역의 인구변동 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영서·호서·호남지역에서 조사된 원삼국~삼국시대 취락유적과 수혈주거지의 방사성 탄소연대(2000~1300 BP)를 수합하여 그 시공간적 분포를 검토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의 대표성 을 확보하기 위해 조정 작업을 거친 후, 보정연대의 합산확률분포(SPD)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증감 양상을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 지역을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방사성탄소연대의 밀도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1750~1550 calBP에 정점을 이루고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감소세에는 주거방식의 변화 및 샘플링바이어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검토에서는 인구 증감시점과 그 폭에 지역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영서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이른 시점인 1700 calBP 이후 크게 감소한 반면, 호서·호남지역은 1750 calBP 무렵부터 크게 증가해 1550 calBP에 가서야 감소하였다. 커널밀도분석를 통해 살펴본 공간적 분포도 이와 상응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와 논의들을 참고하여 교역망의 변화와 군사적 긴장 상황이 영서지역 및 경기북부에서 관찰되는 인구감소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한편 백제가 마한을 병합해 가는 시기에 오히려 마한권역의 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현상도 주목할 만하지만 이에 대해 서는 향후 더 설득력 있는 설명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opulation dynamics in the Mahan, Baekje, and Ye regions. Settlement sites excavated in the Seoul-Gyeonggi, Yeongseo, Hoseo, and Honam regions, along with associated radiocarbon dates (2000-1300 BP), were compiled to assess their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Following adjustment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radiocarbon dates, trends in population growth and decline over time were analyzed using summed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radiocarbon dates. Overall, a gradual increase in the density of radiocarbon dates was observed, peaking around 1750-1550 calBP before declining. This decline was attributed, to some extent, to changes in residential patterns and significant sampling biases. Regional analyses revealed variations in the timing and magnitude of population changes, with an earlier decline observed in the Yeongseo region around 1700 calBP compared to other regions, while the Hoseo and Honam regions experienced significant increases from around 1750 calBP before declining after 1550 calBP. Spatial distributions examined through kernel density analysis corresponded to these findings. While interpreting these changes based solely on the analysis presented herein may be insufficient, considering previous discussions, it is suggested that changes in trade networks and military tensions may have been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early population decline in the Yeongseo region and northern Gyeonggi Province. Additionally,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provide a more convincing explanation for the significant population increase in the Mahan region during the period of Baekje's expansion.

목차

Ⅰ. 서론
Ⅱ. 인구 연구 경향과 방법론
Ⅲ. 마한·백제·한예 권역 인구의 시간적 변화
Ⅳ. 마한·백제·한예 권역 인구의 공간적 변화
Ⅴ. 인구변동의 배경에 대한 시론적 고찰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영(Jiyoung Park),김세진(Sejin Kim). (2024).馬韓·百濟·韓濊 권역의 인구변동. 한국상고사학보, (), 213-239

MLA

박지영(Jiyoung Park),김세진(Sejin Kim). "馬韓·百濟·韓濊 권역의 인구변동." 한국상고사학보, (2024): 213-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