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초기 국왕의 法 인식을 통해 본 對民 인식

이용수 198

영문명
State percep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recognition of law by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aejong and Sejong-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신동훈(Shin Dongho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383~40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의 대민 인식을 국왕의 법 인식과 법률 시행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사회의 산적한 과제를 해결하고 진전된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그 사회의 합의, 즉 법률로귀결되었다. 따라서 안정적인 법 시행은 개혁의 일관성과 관련되었고, 이는 곧 인민들로 하여금 국가의 개혁 방안을 신뢰하도록 만드는 것이었다. 조선은 經典과 史書의 제도를 검토하여 조선의 실정에 맞춰 채택하고, 이 제도가 안정적으로실현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했다. 안정적 실현을 위해서는 법적 안정성 확보, 다시 말해 법의지위를 확고히 해주는 것, 법의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 것, 법의 취지와 내용을 인민에게 알려주는 것 등이었다. 이러한 조치들은 인민들을 대하는 국가의 방식이 일방적인 통보 및 집행에서쌍방향 소통을 지향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조선은 민에게 법 시행 뿐 아니라 법의 취지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따라주기를 바랬다. 독법령은 전 인민을 대상으로 한 법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며, 조선 초기 국가의 대민 인식을 잘 보여주는 제도라 할 수 있다. 법과 제도에 대한 민의 충분한 이해와 그에따른 민의 자발적 준수, 이것이 법을 잘 아는 민으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면서도, 조선이민에게 信義를 구축하고자 한 이유였다. 주목되는 것은 민 스스로도 자신의 위상을 자각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적극적인 정소나불만 제기 등은 국가에게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행동이었다. 결국 민들은 스스로 자신의 위상을 자각하고 있었고, 국가는 그러한 민의 위상에 기반하여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hesis studied the state s perception of the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 s law perception and law enforcement. Joseon solved the problems accumulated from Goryeo through law and created an advanced society. Therefore, stable law enforcement was related to the consistency of reform. And this was to make the people trust the state s reform plan. Chosun reviewed the classics and then modified them to suit reality. For the realization of this system, the position of the law was established, exceptions to the law were not allowed, an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law were informed to the people. These measures show that the state and the people are aiming for two-way communication. Joseon wanted its peopl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law and voluntarily follow the law and its enforcement. The people s full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the system, and the voluntary compliance of the people accordingly, were the reasons why the Joseon tried to build loyalty to the people while worrying about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people who knew the law well.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 people themselves were aware of their status. Active complaints were raised from this recognition. After all, the people were aware of their status, and the state was enacting and implementing laws based on that status.

목차

Ⅰ. 머리말
Ⅱ. 태종ㆍ세종의 法 인식 : 근거에 의한 제정과 시행
Ⅲ. 國ㆍ民 간의 상호 信義 구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동훈(Shin Donghoon). (2020).조선 초기 국왕의 法 인식을 통해 본 對民 인식. 백산학보, (118), 383-407

MLA

신동훈(Shin Donghoon). "조선 초기 국왕의 法 인식을 통해 본 對民 인식." 백산학보, .118(2020): 383-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