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호천 중상류의 百濟 우물 및 集水施設에 對한 考察

이용수 629

영문명
A Study on Baekje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Mid-Headwaters of Miho Stream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전혁기(Jeon Hyukki)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239~2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미호천 중상류의 백제 취락과 성곽, 생산시설 등의 유적에서 확인된 우물 및 집수시설을 대상으로 구조 및 축조기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반 유적과 유물의 편년을 살폈다. 이를 통해 우물 및 집수시설의 변천양상을 3단계로 제시하였다. 미호천 중상류의 백제 우물 및 집수시설은 사용된 재료가 토기ㆍ목재ㆍ석재로 다양하며, 평면형태는 Ⅰ-방형계, Ⅱ-원형계로 분류되며, 단면형태는 a-수직형, b-사선형으로 분류된다. 제1기는 3세기에서 4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목곽집수시설-Ⅰa형식과 土器造집수시설-Ⅱa 형식은 진천의 취락 및 생산유적에서 확인되었다. 목곽집수시설은 ‘井’자형의 결구방식으로선사 이래로 제작되었던 귀틀집의 축조방법과 유사하며, 토기조집수시설의 대형옹과 내부의토기편은 축조 및 사용시기를 보여준다. 이 조합관계를 주변 유구와 비교했을 때, 백제의영역화 과정이 재지세력과 상호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보인다. 제2기는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제1기와 같이 목곽집수시설-Ⅰa형식과 토기조집수시설-Ⅱa형식이 유지되고 있으며, 증평의 추성산성과 진천의 농경유적에서 석조우물-Ⅱb형식이 새롭게 축조되고 있다. 이 시기는 ‘井’자형과 변형된 ‘ㅂ’자형의 결구방식을보이는 목곽집수시설과 토기조집수시설의 조합관계, 새롭게 등장하는 석조우물의 조영은 미호천유역에 대한 백제의 중앙양식 기술과 물질문화가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3기는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후엽에 해당한다. 목곽집수시설은 Ⅰa형식이 진천의 취락유적에서 확인되며, ‘ㅁ’자형의 결구방식을 보인다. 그리고 백제의 퇴축 및 고구려의 미호천유역점유과정에서도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3기 이후 미호천유역은 본격적으로 신라의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신라의 석조우물과 석축집수시설이 관방유적을 비롯한 다양한 유적에서축조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identified in the mid-head waters of Miho Stream from the remains of Baekje villages, fortresses, and produc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chronological recordings based on the accompanying relics and remains. From the investigation, the transition patterns of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were presented in 3 stages. The materials used in Baekje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mid-head waters of Miho Stream are diverse including earthenware, wood, and stone materials. The planar form is categorized into I-square type and II-circular ty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lassified into the a-vertical type and b-diagonal type.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3rd to the 4th century.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collection facility-Ia type and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y - IIa were identified from the villages and production remains of Jincheon.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collection facilities had a ‘井’-shaped assembly method, which was similar to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log cabins, which had been manufactured since the prehistoric period, while the large ong of the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y and the inner earthenware pieces indicate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use. When this relationship of combination is compared to rem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material that shows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of Hanseong Baekje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indigenous force. The second period corresponds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mid-5th century. As in the first period, the wooden collection facility-Ia type and the earthenware collection facility-IIa type are maintained, while the stone well-IIb type is being newly constructed at the Chuseongsanseong in Jeungpyeong and the agricultural remains in Jincheon. This period shows that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facilities showing the ‘井’ and changed ‘ㅂ’ -shaped assembly methods and earthenware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s well as newly appearing constructions of stone wells, indicates the central cultural technique and material culture of Hanseong Baekje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Miho Stream basin. The third period corresponds from the 5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The wooden underground receptacle water facility- Ia type is confirmed from in the village remains of Jinchoen, showing ‘ㅁ’-shaped assembly method. In addition, the type was maintained during the process of involution of Baekje and Goguryeo’s occupation of the Miho Stream basin. After the third period, the Miho Stream basin began to enter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stone wells and water collection facilities of Silla were being built in a variety of remains including the Gwanbang Ruins.

목차

Ⅰ. 머리말
Ⅱ. 현황과 입지
Ⅲ. 구조 및 축조기술
Ⅳ. 변천양상과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혁기(Jeon Hyukki). (2020).미호천 중상류의 百濟 우물 및 集水施設에 對한 考察. 백산학보, (118), 239-272

MLA

전혁기(Jeon Hyukki). "미호천 중상류의 百濟 우물 및 集水施設에 對한 考察." 백산학보, .118(2020): 239-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