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성과

이용수 188

영문명
The Paleolithic Surveys in the Anseong-cheon Area : Focused on Its Progress and Achievement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정철(Lee Jungchul)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117~1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안성천 유역의 구석기 조사는 특정 계기를 바탕으로 탐색기, 개시기, 발전기, 확산기로구분할 수 있는데, 탐색기 이후 개시기-발전기-확산기의 시간적 범위는 대단히 짧은 편이다. 탐색기는 안성천 유역 내 구석기의 분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지점에서 구석기의수습이 진행되었던 2003년 이전의 시기이며, 개시기는 2003년 평택을 시작으로 수원·안성·화성·천안 등 여러 지역에서 구석기 조사가 진행되기 시작하는 2003~07년까지의 기간이다. 발전기는 핵심적 유적이 조사되고 이를 통해 이 지역 구석기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2007~11년, 마지막으로 확산기는 구석기 조사가 이루어지는 지점의 공간적 범위가더욱 확대되는 2012년에서 현재까지이다. 안성천 유역의 구석기 조사는 크게 네가지 측면에서 그 성과가 정리되었다. 첫째, 유적의입지와 지형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비교적 활발한 토양·퇴적물 분석 등 자연과학의적용을 통한 유적 형성 환경이 추론되었다. 셋째, 유물층과 그 시간적 편년의 설정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구석기공작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구석기공작의 일양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기존 구석기 조사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여 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성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aleolithic surveys in the Anseong-cheon a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namely exploration stage, start-up stage, development stage and expansion stage based on specific moments. The time range of the start-up, development, and expansion stages following the exploration stage is very short. The exploration stage was before 2003 when the possibility of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in the Anseong-cheon area was confirmed, and the start-up stage was from 2003 to 2007 when Paleolithic excavations began in Pyeongtaek, Suwon, Anseong, Hwaseong and Cheonan. The development stage is from 2007 to 2011, when main sites were excavated,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leolithic in the region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Finally, the expansion stage is from 2012 to the present, when the spatial scope of the Paleolithic excavations has further expanded. Through the Paleolithic survey of the Anseong-cheon area, the location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sites were confirmed. In addition, scientific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relatively active soils and sediments. Also, the artifacts layers and their chronology were established. Finally, a result was achieved that enabled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t is my hope that the Paleolithic surveys in the Anseong-cheon area will grow by overcom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surveys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의 전개
Ⅲ. 조사의 성과
Ⅳ. 맺음말: 향후 과제를 포함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철(Lee Jungchul). (2020).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성과. 백산학보, (118), 117-146

MLA

이정철(Lee Jungchul). "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성과." 백산학보, .118(2020): 11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