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홍도의 여성인물화 고찰

이용수 590

영문명
A study on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임미현(Im, Mihyu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429~45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는 풍속화, 도석인물화, 기록화 등에서 기녀, 시녀, 여염집 아낙, 여선(女仙), 여협(女俠) 등에 이르는 다양한 여인상을 그려내 여성인물화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이전 시대의 화가에 비해 양적으로도 많은 여성상을남겼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전래된 화보나 선배화가들의 작품들을 참고하여, 자신만의화풍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는 시대양식이 되어 동시대 및 후대 화가의 여성인물상에도 지대한영향을 미쳤다. 이같은 중요성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김홍도의 여성인물상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여성인물화에 그가 끼친 영향력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김홍도의 여인상은 도상적으로 중국에서 전래된 명대 사녀화풍의 미인상과 풍속화 속에등장하는 조선식 여인상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김홍도는 『군선도병』, 〈사녀도〉 등의 작품에서 중국 사녀화풍의 여인상을 그렸는데, 중국화보나 판화, 선배화가들의 도상 등을 참고하여습득하고, 그것을 자신만의 화풍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이전의 도상들을 단순히 모방한것이라 아니라 여인의 얼굴형과 이목구비를 한국적 정서에 맞는 친근한 이미지로 변화시켜표현했다는 점이나 구도나 배경, 인물의 자세 등에서 변화를 주어 자신만의 스타일로 차별화해서 표현했다는 점이 그 예이다. 한편, 김홍도는 풍속화나 기록화 등에서 조선식의 여인상을 다양하게 표현하였는데, 크게어염집 아낙과 기녀로 나눌 수 있다. 유교적 이미지가 강한 가사노동에 집중하는 여성상은전 시대에도 그려졌지만, 김홍도에 의해 상업이나 수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까지 확대해서그려졌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여인들의 감정이나 표정 등까지도 세밀하게 관찰되어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 넘치게 표현되었다. 또한 김홍도의 기녀상은 이전에 기록화에 비해 화면상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커지고, 여러 주제에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여, 이후 신윤복에의해서 단독 제재로 발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같은 김홍도의 여성상들은 김득신과 신윤복, 이재관, 유운홍, 백은배 등 동시대 및 후대화가들의 여성인물화에 주제 및 소재, 기법과 형식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민화로까지 저변화되어 지방화가 및 무명화가들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답습되어 하나의 시대양식이 되었다.

영문 초록

During his time, Danwon Kim Hong-do(1745~1806) drew women figure paintings in genre painting, D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 and documentary paintings. Using various women figures such as Gisaeng, maid, ordinary woman, Daoist goddess, and female knight errant, he left a remarkable achievement in women figure painting history. Not only did he produced considerable numbers of women figure paintings compared to previous generations, he created the paintings with unique style with references of painting catalogues from China and preceding artists of his generation. Thus recognizing these significanc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thoroughly into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and influences of his art works to Late Joseon Dynasty’s painting field. Generally,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to two iconographic styles; Beauty figure style introduced from court women’s portrait of Ming Dynasty and woman figure style appeared in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First, Kim Hong-do drew few pieces such as Folding Screen Paintings of Daoist Immortals and Painting of a Lady in Palace with Chinese court women portraits’ style. For these works, Kim Hong-do studied painting catalogues, woodblock prints, iconograhy from former artists of his time, then adopted and developed into his unique style. Switching objects held in hand between Mago(麻姑) and Haseongo (何仙姑) and modification of women’s facial features with more intimate expression, are instances of his development of style, rather than imitating previous painting. On the other hand, Kim Hong-do also presented a variety of Joseon Era’s women figures in genre paintings and documentary paintings, mainly into two subjects in Gisaeng and ordinary woman. Paintings of ordinary woman in household chores or working already existed before his era, but Kim Hong-do gave detailed observation to even women’s emotions and facial expressions and was able to carry out realistic and dynamic women figures. In addition, Kim Hong-do’s paintings of Gisaeng had women figures occupied larger proportion in pictures and superior roles in variety of scenarios. Due to his foundation, Gisaeng paintings later became separate topic by Shin Yun-bok. As mentioned above,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influenced to other well known artists at his era and later, such as Kim Deuk-Sin, Shin Yun-bok, Yi Jae-gwan, Yu Un-hong, Baek Eun-bae. Kim Hong-do’s paintings have affected with his women figure painting’s theme, subject, technique, and general format. His painting style has expanded not only to the wellknown artists, but to local and nameless painters. Thus his painting style even influenced to folk paintings, and represented to later as one of the style in era.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녀화의 유형과 특징
Ⅲ. 풍속화 속 여인상의 유형과 특징
Ⅳ. 김홍도 여성인물화의 성격과 영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미현(Im, Mihyun). (2020).김홍도의 여성인물화 고찰. 백산학보, (118), 429-459

MLA

임미현(Im, Mihyun). "김홍도의 여성인물화 고찰." 백산학보, .118(2020): 429-4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