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駕洛國記」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이용수 188

영문명
Construction of Sureung Wangmyo (royal tomb of Sureung) and its nature based on what is stated in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현태(Lee Hyunta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217~2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駕洛國記」는 비록 원형 그대로는 아니지만, 가락국을 이해하는데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건국 과정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수로왕의 제사와 관련한기사이다. 이 글에서는 수로왕 제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수로왕의 능·廟 조성과 그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로왕이 세상을 떠나자 殯殿인 殯宮을 세워 왕의 시신을 한동안 모셨다가 그 곁에 능을조성하였다. 「가락국기」에 보이는 ‘首陵王廟’의 首陵은 수로왕의 시호가 아니라 陵號이며, ‘廟’ 라는 용어에는 사당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首陵王廟는 수로왕의 능과 사당을 아우르는복합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아가 수로왕의 陵域 내에 수로왕의 사당이 위치하였음을떠올리게 한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역대 왕을 首陵王廟에 모셨고, 해마다 다섯 차례 정해진 날짜에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首陵王廟가 종묘와 유사한 성격을 띠었음을 단적으로보여준다. 首陵王廟는 正寢의 역할을 한 廟房과 그 곁에 위치한 便房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시설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면서 首陵王廟는 일종의 가락국 종묘와 같은 기능을 할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kept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those studying Garakguk.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include the history ranging from the foundation of Garakguk to its fall. A considerable portion of it is about sacrificial rites for King Suro. This paper is about how the tomb of King Suro and shrines for him were built and what their nature was. Upon the demise of King Suro, his body was kept at the funeral hall for a while and then the tomb was built close to it. The word “Sureung” in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tated in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was the name attached to the tomb, not an honorific bestowed on the deceased king. The word “myo” includes the shrine. Like this,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refers to the tomb of King Suro, the shrine altogether and tells us that the shrine were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tomb of King Suro. According to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sacrificial rites for the deceased kings from the second King Geodeung through the last King Guhyeong of Garakguk were held at the royal tomb of Sureung on a total of five occasions in each year. It tells us that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erved as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The said royal tomb was composed of the burial chamber, an ancillary chamber. It appears that the said royal tomb served as Jongmyo of the Kingdom of Garakguk, with these facilities functioning organically with each other.

목차

Ⅰ. 머리말
Ⅱ. 殯宮의 성격
Ⅲ. 首陵王廟의 의미와 성격
Ⅳ. 首陵王廟의 구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태(Lee Hyuntae). (2020).「駕洛國記」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백산학보, (118), 217-238

MLA

이현태(Lee Hyuntae). "「駕洛國記」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백산학보, .118(2020): 217-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