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와 재현 방향

이용수 152

영문명
The Modern Meaning and Restoration of the Sunghwangje in Sunchang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심승구(Shim Seungkoo)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483~5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순창 성황제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간직한 郡縣祭儀라는 특징을 갖는다. 1992년에전북 순창에서 발견된 「성황대신사적현판」(국가민속문화재 제238호)에는 13세기에서 19세기까지 600년간 성황제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16세기 중엽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국의 군현에 330개나 되는 성황제가 확인된다. 하지만 그 가운데 현재 관련 자료가온전하게 남아 있는 사례는 거의 없다. 그런 점을 감안할 때, 「성황대신사적현판」은 순창의성황제와 지역사회 연구는 물론이고 한국 성황제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유일한 사료라는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성황신은 군현 단위의 지역을 지키는 고을의 수호신이다. 성황을 모시는 사당을 ‘성황당’, ‘성황사’, ‘성황묘’라 하고, 성황을 모시는 제단을 ‘성황단’이라고 불렀다. 순창 성황제는 단오절을 전후로 처음에는 산성대모를 성황신으로 모시다가 15세기에 들어와 薛公儉으로 전환되었다. 13세기 말에 여러 차례 封爵과 함께 國祭로 중시되던 성황제는 조선에 들어와 유교식 삭망제로 바뀌었다가 조선후기에 다시 단오절에 시행되는 등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그러다가 향리 주도로 오랫동안 유지되던 성황제는 근대 이후 점차 무속인이 주도하는 방식으로바뀌었다. 그 결과 고을축제로 시행되던 성황제는 점차 그 기능이 약해져 祭儀보다 단오 행사인 두령정이 물맞이, 단오난장, 응양정 그네뛰기 등에 더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사라져갔다. 순창의 「성황대신사적현판」이 주는 가치는 성황제의 유래와 변천을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옛 성황제의 모습을 되찾는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있다. 특히 단오절에 순창의 대모산성과읍치 성황사, 그리고 읍치 내에서 지역민과 함께 베풀어졌던 성황제는 고려 이래 지방의 행정구역이 어떻게 지역공동체로 유지·전승되어 왔는지를 엿보게 해 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로써 볼 때, 순창 성황제는 순창이 간직해 온 소중한 유산인 동시에 오늘의 순창이되살려야 할 새로운 문화라는 점에서 오래된 미래이다.

영문 초록

The Sunchang Emperor is characterized by the Emperor, which has the oldest record in Korea.,The Seonghwang-Daesinsajeokjeppan (National Folk Cultural Property No. 238), which was discovered in Sunchang, Jeonbuk in 1992, vividly conveys how the Emperor has changed for 600 years from the Emperor of the 13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In fact, there were 330 great emperors in the 16th century in the county prefectures across the country, but few cases of the relevant data remain intact on the coming day. Considering this, the Sunghwang- Daesinsajeokjeonpan i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that can examine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Korean Emperor, as well as the study of the Sunghwangje and the community in Sunchang. The Seonghwangsin is the guardian of the Goeul, which protects the area of the county unit. The shrines that serve the Seonghwang are called the Seonghwangdang, the Seonghwangsa, and the Seonghwangmyo, and the altars that serve the Seonghwang are called the Seonghwangdan. The Sungchang Emperor, which was implemented since the Goryeo Dynasty, was made up of the Emperor before and after the Dano Dynasty, and especially the Sungchang Emperor was regarded as a sacrifice of the state in the 13th century. The Emperor, who was popular even in Joseon, became more popular after the modern era, and the proportion of the Dooryeongjeong was increased. The value of the Holy Emperor s Representation does not just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Holy Emperor,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gain the image of the old Emperor today. The Dano Emperor, which was developed between the Daemosan of Sunchang and the Euphonic Emperor of the Euphonic Province, provides us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history and is likely to be used as a place of vivid history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nchang Dano Emperor is an old future in that it is a precious heritage that Sunchang has kept and a new culture that today s Sunchang should create.

목차

Ⅰ. 머리말
Ⅱ. 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
Ⅲ. 순창 성황제의 구성요소
Ⅳ. 순창 성황제의 복원 및 재현 방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승구(Shim Seungkoo). (2020).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와 재현 방향. 백산학보, (118), 483-514

MLA

심승구(Shim Seungkoo). "순창 성황제의 현대적 의미와 재현 방향." 백산학보, .118(2020): 483-5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