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건축과 중심불전의 주존불상에 관한 화엄교의적 고찰

이용수 871

영문명
A Hwaeom Doctoral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Bulguksa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Main Buddha Statue of the Central Buddhist Hall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서지민(Seo Jimi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8號, 311~34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국사는 통일신라시대, 더 나아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찰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되고 있는 곳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불국사는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사찰임이 밝혀졌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건축물들이 화엄불국토의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으며, 또 불국사의 중심불전에는 어떤불상들이 봉안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불국사는 사바세계와 연화장세계의 경계인 석단 위에 자리한다. 석단의 아래쪽에는 연화장세계를 떠받치는 향수해가 있는데, 향수해를 건너 大梯(백운교, 청운교, 칠보교, 연화교)를올라야 연화장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대제는 모두 52단의 계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화엄경』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52단계의 보살도를 상징한다. 부처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뜻의佛門(자하문)의 양 옆에는 누각 형태의 주초로 된 누각(범영루, 좌경루)이 있는데, 이는 연화장 세계의 세계해를 상징한다. 그리고 『법화경』 「견보탑품」에 근거한다고 알려진 두 석탑(석가탑, 다보탑)은 해인삼매를 통해 드러난 연화장세계를 조형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국사고금창기』 등 관련 문헌자료들을 검토해보면, 불국사의 중심불전에 봉안된 주존불상은 사찰의 역사성을 대변하는 가장 중요한 예배존상이므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의 도상적 전통에 따라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즉 현재 대웅전에 주존으로 봉안된 석가오존불상중에서 제화갈라보살상, 미륵보살상, 가섭존자상, 아난존자상은 조선 후기 도상체계를 따르는새로운 도상을 나타낸 것이지만 같은 시기에 조성된 불상과는 달리 주존 석가모니불상을 설법인을 결한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조선 후기에 불상을 조성하면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과같은 모습으로 재현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극락전의 주존불상과 함께 조합을 이루어 불국사 중심불전(대웅전, 극락전) 구역은중생들이 직접 접할 수 있는 佛外向의 화엄불국토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을 것이다. 이는석가모니의 근원적인 깨달음의 세계인 佛內證의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석굴암 본존불상과 대비되는 것으로 결국 불국사와 석굴암은 국토해와 세계해로 구성되는 화엄불국토를 유기적으로구현했다고 이해된다.

영문 초록

Bulguksa Temple sits on a stone platform that symbolizes the Saha-loka-dhatu an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hich is a paradiea of Avatamska. Below the stone platform is a Buddhist world that supports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To enter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one must first cross the Buddhist world and thereafter go up the big stairways (Baegun-gyo, Cheong-un-gyo and Chilbo-gyo, Yeonhwa-gyo). The big stairways are composed of a total of 52 stairs, which symbolize the 52-steps of Bodhisattva s Way to find enlightenment in 『Avatamsaka sutra』. On the two sides of the gate to Buddhism(Jahamun), which means entering the world of Buddha, are a bell tower (Bumyeongru) and a sutra tower (Jwagyeongru), which are orlos in the form of towers symbolizing the Buddhist world of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In addition, the two stone pagodas (Sakyamuni Pagoda and Dabo Pagoda), which are known to be based on 『The Lotus Sutra』 and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respectively, are thought to have shape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revealed through Sāgara-mudṛa Samādhi. On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e main Buddha statue enshrined in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s assumed to have been 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tradition of the main Buddha statu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worship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historicality of the temple. That is, among the five Sakyamuni Buddha statues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as the main Buddha statues, Dipamkara Bodhiasattva statue, Maitreya Bodhiasattva statue, Mahakassapa Buddha statue, and Ānanda Buddha statue are highly likely to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amo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same period,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with preaching hands with no example of the same iconic image is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Buddha statue of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probably because it was newly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should have been enshrined in the Geuknakjeon to symbolically represent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senlightenment of the enlightenment of a high-quality Buddha to a Bodhisattva(佛外向) in the area of the central Buddha halls (Daeungjeon, Geuknakjeon) to which people can firsthand access. This is in contrast to the main Buddha statue at Seokguram that embodied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the enlightenment of a lowlevel Buddha to preach to the public(佛內證), a world of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Sakyamuni. In the e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aradiea of Avatamska wa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by combining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헌자료를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불국사의 造營
Ⅲ. 통일신라시대 불국사의 건축; 화엄불국토의 구현
Ⅳ. 통일신라시대 불국사의 주존불상; 화엄일승의 법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지민(Seo Jimin). (2020).통일신라시대 불국사 건축과 중심불전의 주존불상에 관한 화엄교의적 고찰. 백산학보, (118), 311-346

MLA

서지민(Seo Jimin).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건축과 중심불전의 주존불상에 관한 화엄교의적 고찰." 백산학보, .118(2020): 311-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