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 영상자극에 따른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대한 연구

이용수 304

영문명
A Study on Young Children s Prefrontal EEG Response according to Audio-video Image Stimul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유미(Lee, YouMe) 남효순(Nam, HyoS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939~95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청각 영상자극에 따라서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측정을 실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2명으로, 뇌파 측정 장비(QEEG-4)로 유아 별 기초뇌파를 측정한 후 시청각 자극으로 선정된 다큐멘터리 영상과 애니메이션 영상물을 차례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두뇌의 안정 상태와 긴장 상태를 의미하는 알파파와 베타파의 상대파워에 대한 뇌파활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영상 자극 간의 뇌파활성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설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파의 상대파워 지수는 기초자극, 다큐멘터리 영상자극, 애니메이션 영상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베타파의 상대파워 지수는 애니메이션 영상자극, 다큐멘터리 영상자극, 기초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고, 영상자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시대에 살아가는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영상자극들이 두뇌의 활성 뿐 만 아니라 정서 안정성이나 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an attempt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s prefrontal EEG(Electroencephalogram) response may differ according to the audio-visual image stimulation, this study measured EEG. The subjects were 22 five-year-old children attended at day care centers. The study first measured basic brain waves using EEG measuring(QEEG-4) devices and suggested documentary images and animation images selected for audio-visual stimulations one by one. Based on these, the study measured brain activity indexes regarding relative powers between Alpha wave and Beta wave meaning the state of stability and that of tension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power indexes of Alpha waves were activated in the order of basic stimulation, documentary image stimulation and animation image stimulation. Second, relative power indexes of Beta waves were activated in the order of animation image stimulation, documentary image stimulation and basic stimulation. And there emerg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age stimul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diverse range of image stimulations children experience at this digital era may have an impact not only on brain activation but also on their emotional stability or feel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유미(Lee, YouMe),남효순(Nam, HyoSoon). (2017).청각 영상자극에 따른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0), 939-956

MLA

이유미(Lee, YouMe),남효순(Nam, HyoSoon). "청각 영상자극에 따른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0(2017): 939-9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