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안전업무 담당자의 인식 분석

이용수 1034

영문명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llowing the Seven Standard School Safety Education Guidelin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윤지(Yoon ji Kwon) 김희진(Hee jin Kim) 이연선(Youn s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05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유아 안전교육과 실제 운영에 대한 유치원 안전업무 담당자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8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2016년 8월부터 두 달 간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Brenner(2006)의 자료 분석 5단계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업무 담당자들은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고, 교수자료와 매뉴얼에 대한 신뢰나 안전교육 관련 인식 증진 등 ‘7대 표준안’의 긍정적인 기능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운영방식, 내용, 수준 등에서 유아교육 현장적합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책임 분담, 기준 간소화, 예비교사 대상교육, 교수자료 보급 등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운영 측면에서 보고나 운영 과정에서 축소하기 또는 부풀리기와 같은 형태의 현실적 괴리가 발생했으며, 교사들은 다양한 교육활동을 시도하고 교수자료에 대해 고민하였고, 안전교육 시행주체로 담임교사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전문성의 측면에서 외부강사나 안전체험관 등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었으며, 목적과 수단이 전도된 안전 업무에 대한 회의감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이 유아 안전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주지하고 안전교육을 일회성 교육이나 업무부담으로만 여기지 않도록 다양한 연수경험을 제공하고, 동시에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을 유치원이나 교사와 같은 개인적 차원에만 전가하기보다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전체험관 확대, 안전전문강사 육성 등과 같은 대안적 정책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made an official announcement of “Seven Standard School Safety Education Guidelines” as a systematic school safety suppor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erception and the real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Data was collected for two months in 2016.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the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s. According to Brenner(2006)’s five steps of analyzing qualitative data, data was categorized into eight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ll interviewees feel the necessity of the safe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ome questions were raised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Guidelines for the children, including the standard unit, the contents, and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ness, etc. The interviewees agreed with the value of the safety education and make efforts, but reported facing many challenges. With regards to the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teachers tried to present diverse safety education activities by using various materials. However, teachers had a tendency to give lessons in order to write the required documents. In this process, teachers seemed to get ignorant of what the actual purpose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We suggest that diverse safety education professionals and facilities for experienc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윤지(Yoon ji Kwon),김희진(Hee jin Kim),이연선(Youn sun Lee). (2017).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안전업무 담당자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 1-28

MLA

권윤지(Yoon ji Kwon),김희진(Hee jin Kim),이연선(Youn sun Lee).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안전업무 담당자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017):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