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면의 발견과 배경으로서의 고향

이용수 307

영문명
The Native Place as Discovery of Inner Mind and It's Background -The Focus on the Hong, Sa-Young's Literature During the 'Baek-Jo(白潮)' Period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윤지영(Youn, Ji-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5집, 215~246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낭만적 감상성의 시인으로 알려진 홍사용의 초기 자유시에는 고향의 자연이 자주 등장한다. 1930년대 이후의 시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민족에 대한 표상으로서의 고향은 향수라는 이상화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수반하고 나타난다. 그와 비교해볼 때, 홍사용 초기시의 고향과 자연은 감정이 배제된 채 등장하거나 향수의 정서라고 보기 힘든 감상성과 연관된다. 그 감상성은 일견 향수의 정서처럼 보이지만 고향에 있으면서도 무언가를 그리워한다는 점에서 향수의 정서라고 보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홍사용의 고향은 민족의 표상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추측할 수 있다. 홍사용의 고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단서는 수필 <청산백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작품에서 고향은 모성적인 것으로 이상화되어 나타지만 이러한 모성적 고향조차 포괄하는 보다 근원적인 것에 대한 인식이 나타난다. 그 근원적인 것은 고향으로 인해 그리움이 촉발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외관을 띄고 표현된다. 고향이 아니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매개로 하여 상실감과 향수를 강렬하게 불러일으키는 이 대상이야말로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궁극적인 원인으로서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홍사용의 시에서 '백조(白潮)'라는 이미지로 표상되는 것이 보다 실재적(the Real)인 이 대상에 대한 언어적 등가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원적 대상에 대한 강렬한 향수의 감정은 내면을 발견한 근대적 자아의 출현을 알리는 신호로서, 이러한 내면의 발견과 병행하여 타자의 시선으로 고향을 발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native place and nature appeared often in the early poetry of Hong, Sa-yong, famous romantic sentimentalist. The native place and nature of Hong, Sa-yong's was different with national territory in 1930's poetry which included 'Nostalgia' as a sense created newly by modern people's eye. There were native place and nature without any emotion, even if there were some emotion it was not a nostalgia, or even if there were some nostalgia but the speaker stayed in the native place. In such a context, the native place and nature of Hong's would have been not associated with imagination of modern nation. It could be found in the essay what the native place and nature of Hong's was. Thought the native place in that essay idealized as mother, there were more original and comprehensive dimension included even the idealized native place. So, the native place of Hong's poetry was not the real object of nostalgia but the representation of the original lack, ultimate the Real caused him to desire the native place, and was represented in 'Baek-Jo(白潮)'.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년체험의 사실적 배경과 감정의 촉매로서의 고향
Ⅲ. 심미적 풍경의 발견과 내적 인간의 출현
Ⅳ. 고향의 원관념이자 욕망의 원인으로서의 '백조(白潮)'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영(Youn, Ji-Young). (2013).내면의 발견과 배경으로서의 고향. 한국문학논총, 65 , 215-246

MLA

윤지영(Youn, Ji-Young). "내면의 발견과 배경으로서의 고향." 한국문학논총, 65.(2013): 215-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