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구현방식과 문학적 의미

이용수 841

영문명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fantasy in and a literary viewpoint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현화(Kim, Hyun-Hwa)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5집, 31~57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복사저포기>는 ≪금오신화≫의 다른 작품과 달리 유난히 문(門)이 소거되어 보이지 않는 가운데 환상이 일어난다. 문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은 배나무이다. 또한 양생이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고 여귀가 등장하는 법당 장면도 마찬가지이다. 인간과 귀신이 충분히 서로 넘나들 수 있는 환경을 미리 마련해 놓는다. 두 인물이 개령동 무덤으로 가는 길에서도 문은 소거된다. 일상적 공간의 문이 의도적으로 소거된 것과 달리 초월계 공간의 문은 개방된다. 양생이 무덤으로 들어서는 부분에서 일상적 공간의 문을 소거했던 이유가 밝혀진다. 의도적으로 소거되었던 문은 보련사 공간에서 등장한다. 양생이 지리산에 들어가 세상을 마쳤다는 결말은 또 다른 초월계 공간의 문이 개방되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한편, 주요 소재의 상승감 유지를 통해서도 환상이 일어난다. 배나무, 불단 위의 붉은 촛불과 향불, 불탁 위의 축원문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상승감을 유지하며 환상을 유발한다. 서쪽 봉우리에 뜬 달, 허공에 울리는 닭 울음소리, 하늘에 퍼지는 종소리는 물론 공중에 높이 늘어선 가시나무, 매우 화려한 집 등의 표현을 통해서도 일정한 상승감은 유지된다. 또한 주발을 들고 서 있는 양생의 행위를 통해서, 허공중의 수저 소리, 말소리, 여귀의 마지막 울음소리 등을 통해서도 유지된다. 마지막 양생이 입산 모습은 작품 초반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 온 상승감을 그대로 보여준다. 속세 공간보다 상당한 높이를 지닌 산으로 들어간 것이니 오히려 다른 어떤 소재보다 상승감을 강조한다. <만복사저포기>는 '순수'라는 근원적인 가치에 집중한 작품이다. 양생이 배나무에 기대 고독을 노래하고, 감히 부처를 상대로 저포놀이를 하고, 여귀와 함께 무덤 속으로 진입한 것도 바로 그 순수함 때문이다. 여귀 역시 자신만의 고독한 시간을 치유하는 데 머문 것이 아니라 타자의 불우한 삶에도 관심을 기울인 순수한 인물이다. 이 인물들을 통해 작가는 알력과 투쟁, 욕망과 배신이 넘치는 현실세계를 화합하고 조율할 수 있는 순수의 세계를 꿈꾼다. 그런 가운데 인간과 귀신, 현실계와 초월계가 소통하는 환상이 벌어진다. 이러한 창작 기법은 환상이 낯설거나 이질적으로 다가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문예적 장치이자 순수한 인간상을 열망했던 작가의식의 소산이다.

영문 초록

showed a fantasy while a door was not erased, unlikely the other works of ≪Geumosinhwa≫. One pear tree had a function of a door. Moreover, also the scene that Yangsaeng played Jeoponoli with Buddha and a female ghost appeared in the sanctuary is the same. It was already prepared the circumstance that human and ghosts could enough cross each other. When a maid for the female ghost appeared, a door of a daily space was erased, and then the scene was made naturally, which a character of the fantasy world appeared in the reality space. Also a door in the path where Yangsaeng went to Gaeryeongdong tomb of the female ghost was intentionally erased. While the door of a daily space was erased intentionally, the door of the fantasy world was opened. That Yangsaeng entered into the tomb means that human enters into the fantasy world. The reason why the author radically erased the door of a daily space was exposed in this part,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the female ghost was buried temporarily when it died, and where Yangsaeng was out of original loneliness. The door that was intentionally erased in the meantime appeared in the space of Boryeonsa. The reason why it was is that the place was to give the female ghost the appropriateness of going to better world out of the lonely fantasy world. After, the ending that Yangsaeng entered into a mountain and finished his life implied the fact that a door of another fantasy world was opened. On the other hand, an illusion may happen as maintaining the sense of rise of main materials. The lonely reality of Yangsaeng was not just miserable because of the sense of rise of a pear tree between heaven and earth. When the red candle on a Buddhist altar and a written prayer on a Buddhist table maintained the sense of ris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it could draw the fantasy world where the female ghost stayed up to the bright color sense. The sense of rise could be maintained by the moon that rose over the west mountaintop, a cock's crying in the air and a peal of belles in the sky. Also the depiction of 'a line of trees high into the air' and 'very colorful house' could maintain the certain sense of rise. The sense of rise in could be maintained by Yangsaeng's behavior such as 'standing with a brass rice-bowl', the sound of spoons in the air, the sound of speaking and the last crying sound of the female ghost. After that, Yangsaeng's figure when he entered into a mountain and lived showed just the sense of rise that was maintain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It has a role for emphasizing on the sense of rise rather than any other materials because Yangsaeng entered into higher mountain than the real world where he lived. is the work that focused on the original value referred to' purity'. The reason why Yangsaeng sang a song of loneliness while leaning against a pear tree, dare played Jeoponoli with a Buddha and entered into the tomb with the female ghost is just pureness. The female ghost also was a pure character that not stayed to cure her own lonely time, but was interested in the other's deprived life. The author dreamt a pure world through these characters, where may make in concord with the real world of running over with conflict, fight, desire and betrayal and tune up. In the course of it, the illusion that may communicate between human and ghosts,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world may happen. It was the result of writer consciousness that desired the pure human model.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전기문학과 환상
Ⅲ.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지표
Ⅳ. 환상 구현의 문학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화(Kim, Hyun-Hwa). (2013).<만복사저포기>의 환상 구현방식과 문학적 의미. 한국문학논총, 65 , 31-57

MLA

김현화(Kim, Hyun-Hwa).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구현방식과 문학적 의미." 한국문학논총, 65.(2013): 3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