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玉所 權燮의 演戱詩 考察

이용수 91

영문명
A Study of Okso Kwon Seop’s Dramatic Poetr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권희(Kwon-hee,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3輯, 235~2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시단에서 가장 특색 있는 시인인 옥소 권섭(1671~1759)의 한시 중에서 연희시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밝혔다. 옥소가 활약한 17ㆍ8세기는 임ㆍ병양란을 겪은 후 상하층의 자각으로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였다. 옥소의 연희시는 당대 하층민중들의 삶을 소개하여 그가 가진 우리 연희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옥소가 민중들의 연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2세 때부터이다. 옥소는 연희와의 만남을 통해 그것을 연희시로 형상화하여 옥소의 한시를 구성하는 하나의 영역으로 삼았다. 옥소는 「六詠」이라는 연시조에서도 궁중음악과 민중음악의 연희 양상을 작품화하여 연희시로 승화시켰다. 옥소의 연희시는 황창무를 소재로 한 작품과 솟대놀이를 소재로 한 것, 사찰 연희를 소재로 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옥소가 54세 경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黃昌舞古風走筆示兒輩」는 옥소의 연희시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옥소의 이 작품과 김만중의 「觀黃昌舞」를 비교해보면 춤의 배경과 표현의 일부가 같으나, 옥소는 황창무에 몰입하고 감동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표현한 반면, 김만중은 황창의 행위를 통해 사회적으로 애국심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차이가 있다. 솟대놀이를 소재로 지은 「觀村中優戱」는 광대의 자부심을 표현함으로써 문학적 완성도를 높였다. 옥소는 연희시를 지으면서 연희의 동작만을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심정이나 연희자의 마음을 대신 표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표현 방식이 옥소의 연희시를 관통하는 정서의 핵심인 연민이다. 사찰에서의 연희를 대상으로 한 「夜觀沙彌舞」에서는 앞부분에서 연희의 배경이나 장면을 묘사하고, 뒷부분에서는 자신의 심정 표출과 연희자의 심정을 대신 표출하여 작품을 마무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옥소의 한시가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연희시 구성방식이라 할 수 있다. 옥소의 연희시는 조선후기 다양한 연희시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작품으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당대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연희 실체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뿐만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의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높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dramatic poetry among his Chinese poetry, I found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of Okso Kwon Seop, the most featured poet in the world of poetry during Joseon Dynasty.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when Okso was active was the time when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Korean culture from the realization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fter the two war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Chinese invasion of Korea in 1636. Okso’s dramatic poetry presented the lives of people of the lower classes of his time to the public and showed his interest in Korean dramas and performances. He was 12 years old when he first had an interest in the people’s dramas and performances. Through his encounter with dramas and performances he embodied them in his dramatic poetry and he adopted it as an area in composing his Chinese poetry. He sublimated the aspects of court music and popular music to literature in a series of his Chinese poems, Yook Yeong(The Six Songs). The poems with the themes of Hwangchnagmu(The sword dance), Sottaenori(Dance around the sacred pole) and plays in temples are the examples of Okso’s dramatic poetry. Especially Hwangchnagmu, which is estimated to be written at the age of 54, is his representative work. Comparing this work of Okso with the one of Kim Manjoong, we can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hile Okso intensively expressed the process of getting absorbed in the dance and moved by it, Kim Manjoong tried to enhance patriotism through the dance in Korean society even though the background of the dance and some expressions were partly same. The poem about Sottaenori achieved greater literary completion by expressing the clown’s pride. When writing a dramatic poem, Okso did not merely describe the actions and movements of the performances but also he tried to express his emotions or the performer’s feelings instead. This kind of way of expression is compassion, the core emotion penetrating Okso’s dramatic poetry. In the poem about plays in temples, he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scenes of the performance in the first half and he concluded the poem by expressing his own feelings and the player’s emotions instead in the second half. This kind of structure is the typical format of Okso’s dramtic poetry in his Chinese poetry. Okso’s dramatic poetry is worth good enough for matching a variety of any different dramatic poe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is meaningful to show the substance of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handed down among the people in his day. Furthermore, it should be highly estimated that his poetry reflects the changing aspects of the a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연희시의 배경
Ⅲ. 연희시의 실상
Ⅳ. 특징 및 의의
Ⅴ.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권희(Kwon-hee, Lee). (2012).玉所 權燮의 演戱詩 考察. 어문연구, 73 (73), 235-259

MLA

이권희(Kwon-hee, Lee). "玉所 權燮의 演戱詩 考察." 어문연구, 73.73(2012): 235-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