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52

영문명
The Study of Suprasegmental Type in Jeongseon dialec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최영미(Young-mi, Choi)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3輯, 127~1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실현을 비교하여 정선방언의 성조체계가 갖는 불안 정성을 살피고 정선방언의 운율유형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 결과, 정선방언은 성조방언이고, 정선방언의 성조실현은 삼척방언의 성조실현보다 더 불안정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논의는 아래와 같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실현을 근거로 하여 추론할 수 있다. 먼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은 유형론적으로 성조언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의 근거는 아래와 같다. 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체계는 2단 3성조로 구성되었다. 나.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에서 거성형은 1음절에서만 존재하고, 2음절 이상의 어절에서 거성형은평2형으로 변동한다. 다. 단음절 거성형의 음조[M]는 고립된 환경에서 상성형의 음조[˘M, H¨ ]로 실현된다. 이러한사실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단음절 성조실현에서 거성이 측성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조체계 측면에서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은 1음절 거성이 측성을 성격을 잃게되면 음장방언으로 변화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정선방언의 성조체계가 삼척방언의 그것보다 더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러한 추론의 근거는 아래와 같다. 가. 정선방언 성조규칙 체계에는 평복형의 자유변동 규칙이 있지만, 삼척방언의 성조규칙 체계는 이 규칙이 없다. 나. 정선방언의 평복형은 변이성조실현을 갖지만, 삼척방언의 평측형은 고정적으로 실현되어변이 성조실현을 가지지 않는다. 다. 단음절의성조실현은 양방향동일성 조건을 충족한다. 그러나 두 방언에서 다음절의 성조실현은 양방향 동일성 조건을 충족 여부가 다르다. 즉, 평측형 중 평1형과 상성형이 양방향 단일성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동질적이지만, 평측형 중 평복형과 거성형이 양방향 단일성 조건을 충족 시키지 못하여 이질적이다. 라.‘가•다’류 풀이씨 어간과 가변적 평측형 풀이씨 어간‘흐르-, 모르-’는양방향 단일성 조건을충족하여 동질적인 면과 충족시키지 못하여 이질적인 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suprasegmental type in Jeongseon dialect. To this end, compared with those in Samcheok dialect Tonal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were. In conclusion, Jeongseon dialect is a tone language and the tonal system in Jeongseon dialect is more unstable than that in Samcheok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First, these are interpreted to be the tone languages in Jeongseon and Samcheok dialects. The base of the judgment is as follows a. The tone systems consist of three tonemes and have a range of two levels. b. The departing tonal pattern is only in a word with one syllable. c. The pitch of departing tonal pattern was equated with rising tonal pattern in a word with one syllable. d. The departing tonal pattern has been changed to plain tonal pattern in a word with two syllables. Second, the tonal system in Jeongseon dialect is more unstable than that in Samcheok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a. The realization of the tone in Jeongseon dialect is optional but that in Samcheok dialect is steady. In other words, the Pyeongbok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have two or more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Meanwhile, the Pyeongbok patterns in Samcheok dialect have one olny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b. The Pyeongbok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are not distinctively confronted with its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but the Pyeongbok patterns in Samcheok dialec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s. c. There is partly adequacy in part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between Jeongseon dialect and Samcheok dialect. It is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with the plain tone, departing tone, and rising tone in a word with one syllables. Also it is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in plain-single pattern and rising pattern. But the pyeongbok patterns are not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단음절의 성조실현
4. 다음절의 성조실현
5. 성조실현의 대응관계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미(Young-mi, Choi). (2012).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어문연구, 73 (73), 127-160

MLA

최영미(Young-mi, Choi). "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어문연구, 73.73(2012): 12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