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규원사화』에 보이는 天祭의 형식

이용수 244

영문명
Form of Heaven Worship Ritual in Kyuwonsahwa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임채우(Lim, Chaewoo)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34輯, 681~71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규원사화』는 조선 숙종 때인 1675년에 저술된 역사.사상서로 단군시대의 고대사를 담고 있는 여러 사서들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전적이며 고대사상을 연구하는 중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해준다. 이 『규원사화』의 「단군기」에는 47대 단군왕조의 임금에 대해 소개하면서 제천의례에 관한 여러 내용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단군에 관한 최초의 기록인 『삼국유사』에는 桓因의 서자 桓雄에서 단군으로 이어지는 내용만 전하고 있을 뿐 단군이 제천의례를 드렸다는 기록은 없다. 그래서 『규원사화』에서 언급된 단군시대의 제천의례에 대한 기록은 우리 고유 천제에 관한 가장 체계적인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뒤로 1920,30년대에 등장한 『제왕연대력』이나 『東國史略』 『조선역사』 등에서는 단군의 천제에 대한 기록이 있긴 하지만 단편적일 뿐이다. 오히려 이들보다 3백년이전에 쓰여진 『규원사화』가 더욱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여기에서는 매년 10월에 백두산 마리산 태백산 등지에서 三神에 대한 천제를 거행했으며, 그 천제의 기원과 의미 형식과 절차 등에 대해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고대 고조선시대의 천제의 자세한 형식과 의미를 파악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우리는 고대 천제에 대한 전체적이고도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후로 우리의 천제는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동예의 무천 등으로 계승되었으나, 통일신라 이후로 중국의 예법을 따르면서 천제의 전통은 단절되고 말았다. 그러나 『규원사화』를 통해 밝혀진 천제의 기록을 토대로 우리의 천제의 원형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우리 고유의 천제를 복원하는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Kyuwonsahwa (揆園史話) is a the longest text of history and thoughts written in 1675 in the king Sookjong of the Joseon dynasty, which describes ancient Korean history of the Dangun(檀君) period, and provides important grounds for research into ancient thoughts. Dangun rulers from the 1st Dangun to the 47thDangun one are cited in the Chronicle of Danguns(檀君記) of the Kyuwosahwa. In the book are forms of heaven worship rituals described in detail. Samgukyusa(三國遺事), the first record which dealt with the Danguns, includes only descriptions about Dangun rulers from Hwanung (桓雄), a son of Hwanin (桓因: the Lord of Heaven), to Dangun(檀君), but no record revealed that heaven worship rituals were performed by Dangun rulers.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riginal record concerning Korean indigenous heaven worship rituals is the one described in the chronicle of Danguns of Kyuwosahwa. Then, records on the heaven worship rituals of the Dangun period, described in several history books, such as Jewang yeondaeryeok (帝王年代曆: of Korean Rulers), Dongguksaryak (東國史略: book of Goryeo period), or Joseonryoksa (朝鮮歷史), which appeared in 1920s to 1930s turned out only fragmentary data. However, Kyuwonsahwa (揆園史話), which was written about 300 years earlier than these books, describes in minute detail the heaven worship rituals of the Dangun period. That is to say, Kyuwonsahwa (揆園史話) recorded the full particulars of rites to three gods (三神: heaven god, earth god, human god) performed in Mt. Baekdu, Mr. Mari, Mt. Taebaek, and so on, every October, origins, meanings, forms, procedures, and so on, which are greatly precious data in understanding forms and meanings of the ancient heaven worship rituals of the period of Gojeoseon(古朝鮮: ancient Joseon to distinguish it from the later Joseon dynasty), thereby allowing us to understand the whole and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Korean ancient heaven worship rituals. Korean ancient heaven worship rituals were inherited ever after in forms of harvest festivals, that is, Koguryo’s Dongmaeng, Buyeo’s Younggo, and Dongye’s Mucheon. Since the Unified Silla, traditions of the Korean indigenous heaven worship rituals were unfortunately repudiated under the influence of China’s festive rules and manners. Now,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rototypes of the Korean indigenous heaven worship rituals based on the records on the Korean ancient heaven worship rituals, as revealed in Kyuwonsahwa, and they can be utilized as essentially valuable data in restoring forms of the Korean indigenous heaven worship rituals.

목차

Ⅰ 서론
Ⅱ 규원사화의 사료적 가치
Ⅲ 규원사화 천제의 형식과 유교의례
Ⅳ 고대 천제에 있어서 규원사화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채우(Lim, Chaewoo). (2010).『규원사화』에 보이는 天祭의 형식. 동양철학, 34 , 681-711

MLA

임채우(Lim, Chaewoo). "『규원사화』에 보이는 天祭의 형식." 동양철학, 34.(2010): 681-7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